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 취락 유적의 양상 - 군자만 일대와 중국 동북지방 취락 비교

이용수 6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Neolithic Settlement Sites in the Central: A Comparison between the Gunjaman Area and Settlements in Northeast China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김상훈(Sang Ho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48호, 25~5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21세기 이후 한국 신석기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된 경기만 일대 유적 중 시흥을 중심으로한 군자만 일대 신석기 시대 취락의 형성과 변화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군자만 일대는신석기 시대 전기에서 중기 단계, 즉 전형적인 삼부위 시문의 변이가 활발해지는 시점에 다수의취락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취락 유적 간의 토기 변화 양상, 주거지 자체의 변화, 입지 변화를검토하여 지역 내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면, 이러한 변화 양상은 일반적으로 초기 농경사회의 도입이나 식량 자원 활용의 변화, 더 나아가 기후와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 양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빗살무늬 토기 요소를 수용한 것으로 언급되는중국 동북 지역의 취락 유적 자료와 함께 비교·검토하였다. 특히 중국 요서 지역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대단위 취락과 초기 농경이 도입되며, 이후 요동 지역으로 확산하면서 취락의 양상변화가 관찰된다. 군자만 북부에 해당하는 영종도 지역의 취락은 토기와 탄소연대 등에서 보이는 시간적 변화를통해, 취락의 규모와 군집 양상 등에서 변화가 확인된다. 군자만 내륙 해안가의 주요 취락 유적에서도 운서동식 주거지가 사라지고, 방형-사주식의 정형화된 주거지를 갖춘 취락으로 규모가 축소되는 변화가 나타난다. 주거지 간 위계가 사라지고, 의례와 관련된 유물이 나타나지 않으며, 중심취락과 주변부 취락 간 구분이 발생하는 양상도 확인된다.조와 기장은 여전히 사용되지만, 곡부지대 등 가용 지형이 확대되는 특징이 나타난다. 중국 동북 지역 취락 유적 중 초기 농경이 먼저 도입된 요서 지역 흥륭와 문화의 특징과 이후요동 지역 취락 유적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어로 비중이 증가하는 생계 모델 차이와 함께 주거지 간 위계가 사라지고, 의례와 관련된 유물이 줄어드는 양상이 관찰된다. 양자의 비교, 특히 동일네트워크 상에 있었던 요서 지역과 요동 지역의 농경 수용 방식과 적응 과정을 고려한다면, 한반도 중서부 신석기 시대 문화의 특징과 적응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Neolithic settlements in the Gunja Bay area, focusing on the Siheung region within the Gyeonggi Bay, a major research target in Korean Neolithic studies since the 21st century. The Gunja Bay region features numerous settlement sites from the Early to Middle Neolithic periods, a phase marked by active variations in comb-patterned pottery. Analyzing pottery transitions, residential changes, and locational shifts reveals patterns tied to the introduction of early agricultural societies, shifts in resource utiliz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s. For further interpretation, comparisons were made with settlement data from Northeast China, particularly the Liaoxi region, which saw early large-scale settlements and initial agriculture, and the Liaodong region, where settlement transformations occurred during agricultural diffusion. In Gunja Bay, northern settlements like Yeongjong Island display temporal changes in pottery and carbon dating, alongside shifts in settlement scale and organization. Coastal settlements saw the disappearance of unsystematic residential forms, replaced by standardized, smaller settlements lacking hierarchical structures or ritual artifacts. Similar patterns in Liaoxi and Liaodong—such as reduced settlement hierarchies and a decline in ritual artifacts—highlight differences in livelihood models, including an increased reliance on fishing. These comparisons, particularly the shared networks between the Liaoxi and Liaodong regions, provide insights into the adaptation strategi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eolithic societies in central-wester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군자만 일대 신석기시대 취락
Ⅲ. 중국 동북지방의 취락 유적
Ⅳ. 중국 동북지방에서 한반도 중서부로의 초기 농경 전파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훈(Sang Hoon Kim). (2024).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 취락 유적의 양상 - 군자만 일대와 중국 동북지방 취락 비교. 한국신석기연구, (), 25-57

MLA

김상훈(Sang Hoon Kim).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 취락 유적의 양상 - 군자만 일대와 중국 동북지방 취락 비교." 한국신석기연구, (2024): 25-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