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아시아 근대화와 대중음악시장의 형성 및 전개
이용수 33
- 영문명
- The Modernization of East Asia 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opular Music Market
- 발행기관
- 한국교방문화학회
- 저자명
- 주진(Jin Ju)
- 간행물 정보
- 『 교방문화연구』4권 4호, 131~15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악의 본질은 그 시원(始原)에서부터 근본적으로 해체되었을 때 이를 통해좀 더 근원적인 인사이트를 일깨울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든 인류사의 궤적으로부터 발견되는 문화 현상학적 연구를 선행하여 새로운 층위의 수평화로 한발 앞서 나아갈 수 있다.
한국의 대중음악은 ‘대중’, ‘근대화’, ‘문화의 상품화에 대한 상정과 소비개념형성’ 같이 새로운 니즈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성장해왔다. 인간의 지적 능력은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식별하고 정서지능의 작용을 돕는 데에 있다. 좀 더포괄적인 개념에서 인간이 새로운 상황에 부딪힐 때 그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타개할 방법을 찾아내는 지적 활동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농업 혁명』에서 시작된 인류의 생활방식이 변화 (유목 -> 정주, 鼎廚)를 겪으면서 동시에문명 발생의 필요충분조건(체계적인 종교, 법률(法律), 도덕, 통치제도, 구조 등의 확립)을 충족하는 데에 기인하는 데에서 봄이 합리적이다. 이를 <대안적 근대화론>, 아르드노의 <음악사회학>과 관련하여 이론적인 기틀을 정립하여 설명하고자한다.
영문 초록
When the essence of music is fundamentally dismantled from its roots, this can lead to more fundamental insights. To this end, we can take the cultural phenomenological research found in the trajectory of all human history to a new level.
Korean pop music has grown by actively responding to new demands such as ‘popularization’, ‘modernization’, and ‘the formation of a commercialization assumption and consumption concept of culture’. Human intellectual ability lies in grasp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nd helping emotional intelligence work. Looking at a more comprehensive concept, it can be said that it refers to intellectual activity that understands the meaning of human beings when faced with new situations and finds a way to overcome them. This is because human lifestyle, which started in the past agricultural revolution, undergoes change (Nomadism -> settlement, 鼎廚) and at the same time meet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civilization (systematic religion, legal, morality, governance system, structure, etc.). I would like to explain this by setting a theoretical foundation in relation to ‘Alternative Modernization Theory’ and Adorno’s ‘Music-Sociology’.
목차
1. 서론
2. 개요
3.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소고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