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악단편성에 나타난 예술적 가치 연구
이용수 35
- 영문명
- Artistic Value in the Composition of Korean Music Ensembles
- 발행기관
- 한국교방문화학회
- 저자명
- 변정민(Jung Min Byun)
- 간행물 정보
- 『 교방문화연구』4권 4호, 111~13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악단의 역사적 역할과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그 문화적 가치와 중요성을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선시대 농경사회에서 전쟁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전란 속에서 악단은 민심 결속과 국가 재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세종과 성종 시기에 이르러 조선 왕조의 악단은 체계적으로 정비되었으며, 음악을 통해 국가를 바로잡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지배 정책으로 인해 한국의 전통 악단이억압받았지만, 일부 음악가들은 전통 음악을 비밀리에 전승하고 서양 음악과 결합하여 새로운 음악적 운동을 일으켰다. 이후 한국의 전통 악단은 현대화와 세계화를 추구하며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음악적 지평을 열어왔다. 본연구는 한국 전통 악단이 전쟁과 혼란 속에서도 민심을 결속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며, 현대화와 세계화를 통해 새로운 콘텐츠로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거듭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독특한 악단 구성이 문화적 자산으로서의 가치를어떻게 높여왔는지를 이해하고 문화 산물로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role and evolution of traditional Korean ensembles, highlighting their cultural significance and value. During the Joseon Dynasty, wars had profou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impacts on the agrarian society, and in this context, ensembles played a crucial role in uniting the people and rebuilding the nation. During the reigns of the kings of that period, systematic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court ensembles were implemented, reflecting efforts to stabilize the state through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raditional Korean ensembles faced suppression due to Japan’s colonial policies, yet some musicians secretly preserved traditional music and initiated new musical movements by blending it with Western music. Subsequently, traditional Korean ensembles pursued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pening new musical horizons through the fusion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elements.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 traditional ensembles, even amidst war and turmoil, have contributed to uniting the people, preserving cultural identity, and continuously evolving through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It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s a valuable cultural asset.
목차
1. 서론
2. 전통 한국악단의 상징적 의미
3. 현대 한국악단의 시사성과 대중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