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콘텐츠학의 발전에 대한 문화적 고찰 - 세부 분류(방법론으로서의)와 전개 양상에 관하여

이용수 0

영문명
A Cultural Inquiry on the Growth of Cultural Content Studies:On Detailed Classification (as a Methodology) and Development
발행기관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저자명
김성수(Soungsu Kim)
간행물 정보
『문화·경영·기술』제4권 제2호, 7~3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0년대 초반 문화콘텐츠학이 태동된 이후 문화원형, 스토리텔링, 문화기술 등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문화콘텐츠들을 연구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었다. 그러면서 문화콘텐츠학에도 세부 분야 분류나 방법론을 감안한 연구 접근이 있어야 한다는 견해들이 생겨났다. 현재도 생성 중인 문화콘텐츠학이 보다 확실하게 자리를 잡아야 한다는 생각의 일환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지난 20여 년간 문화콘텐츠학 연구 작업을 통해 현재에 이르게 된 상황 및 전개 국면이 어떠했는지를 한국 문화콘텐츠의 발전 상황과 더불어 개괄적으로 고찰해 보면서 문화콘텐츠학에 대한 논의(질적 연구 바탕에 양적 연구를 가미한 혼합 방식의 메타-연구)를 개진해 보고자 하였다. 문화콘텐츠학의 세부 분류에 어떠한 의미 및 방법론과 관련된 내막이 내포되어 있는지, 나아가 문화콘텐츠 윤리는 왜 중요한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의 문화콘텐츠(한류 및 K-컬처)는 세계인들로 하여금 한국 문화를 향유하게 함으로 인해, 세계 문화의 다양성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일익을 담당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것이 글로벌 사회 속에서 한국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이며, 한류 혹은 K-컬처의 이데올로기로 간주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기존 전통과 역사를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킨다는 측면만이 아니라, 전통과 역사를 새롭게 만들어 내고 발전시킨다는 측면 역시 중요하다. 문화콘텐츠학은 현대의 문화를 연구하는(나아가 한국에서 문화를 연구하는) 한국학인 동시에 한국의 문화학이기도 하다.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면서 주변 학문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으려 하는 문화콘텐츠학은 계속되어야 하며 이를 세계에도 알릴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the birth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in the early 2000s, efforts to study various cultural contents in various fields such as cultural archetype, storytelling, and cultural technology have continued. Thereby, opinions have also emerged that Cultural Contents Studies should have detailed field classification or methodology. It can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ideas that Cultural Contents Studies, which are still being formed, should be well established and lasted. In this respect, this paper attempted to present a discussion on Cultural Contents Studies (a meta-research in a mixed method of adding quantitative research to the basis of qualitative research) by examining the situ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contents over the past 20 years. The detailed classification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has an inner story related to certain meanings and methodologies. Moreover, the importance of ethics about cultural contents need to be raised. It was intended to emphasize that Korean cultural contents (Korean Wave or K-culture) should play a part in promoting the diversity of global culture by allowing people around the world to enjoy Korean culture. And, it is a way to play the role of Korea in a global society. This should be regarded as the ideology of the Korean Wave or K-culture. Not only the aspect of understanding and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existing traditions and history of Korea, but also the aspect of creating and developing traditions and history is important. Cultural Contents Studies itself could be a part of Korean Studies about contemporary culture (in Korea) and Korean culture. Cultural Contents Studies, which try to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urrounding other studies while studying cultural contents, should be continued, and known to the world.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문화콘텐츠학의 연구 및 발전 상황 혹은 방법론
3. 문화콘텐츠학의 세부 분류와 방법론에 함축된 의미
4. 세상에서 형성되었으나 세상을 형성하는 문화콘텐츠학, 그리고 문화콘텐츠 윤리
5.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수(Soungsu Kim). (2024).문화콘텐츠학의 발전에 대한 문화적 고찰 - 세부 분류(방법론으로서의)와 전개 양상에 관하여. 문화·경영·기술, 4 (2), 7-32

MLA

김성수(Soungsu Kim). "문화콘텐츠학의 발전에 대한 문화적 고찰 - 세부 분류(방법론으로서의)와 전개 양상에 관하여." 문화·경영·기술, 4.2(2024): 7-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