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립준비청년의 자립 경험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이용수 57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n the Experiences of Young Adults Aging Out of the Child Welfare System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가족정책학회
- 저자명
- 최보람(Boram Choi) 이재림(Jaerim Lee)
- 간행물 정보
- 『가족정책연구』제4권 제2호, 27~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립준비청년의 자립 경험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2024년
8월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 56편과 석박사 학위논문 30편으로 총 86편이었다. 관련 연구가 처음 등장한 것은
2002년이었고, 특히, 최근 5년 사이에 발표된 연구가 전체 연구의 약 55%를 차지하였다. 그동안 보호가 종료된
아동을 지칭하는 용어는 연구자마다 서로 달랐으나, 2021년의 정책 발표 이후 ‘자립준비청년’으로 지칭되고
있다. 퇴소 전의 보호유형으로는 양육시설이 가장 많았고, 가정위탁, 공동생활가정의 순이었다. 연구방법을 보면,
질적연구가 양적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자료수집 방법에서 질적연구는 심층면담이
가장 많았고, FGI, 질적 메타분석 등의 방법도 있었다. 양적연구는 1차 자료와 2차 자료 활용의 비중이 비슷했다.
자립준비청년의 자립 경험을 자립의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자립생활, 심리⋅정서, 관계, 지원 서비스, 진로, 취업,
건강의 7개 영역과 40개의 세부 연구주제로 분류되었다. 향후에는 구체적인 주제를 좀 더 깊이 있게 다루는
연구, 학문영역 간 융합연구, 연구방법의 다양화를 시도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 수립에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rends in the Korean literature on the experiences of young adults who aged
out of the child welfare system. We analyzed 86 studies including 56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and
30 master's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up to August 2024. The first related study appeared in 2002,
and about 55% of the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past five years. The term referring to the young adults
varied in the literature, but the official term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has been used since the
policy announcement in 2021. Most studies focused on leaving out of foster care facilities, followed by
foster care homes and group hom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more qualitative studies were published
than quantitative studies.. In-depth interview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data colle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and other methods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and qualitative meta-analysis were
also used. In quantitative research, both primary and secondary data were commonly used. We classified
the topics of research into seven themes: independent living, emotions, relationships, support services, career
paths, employment, and health.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focus on specific topics in more depth,
converge research across academic disciplines, and attempt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청소년상담연구
- 상담학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청소년학연구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한국아동복지학
- 상담심리교육복지
- 한국아동복지학
- 청소년학연구
- 청소년학연구
- 사회과학연구논총
- 사회복지연구
- 청소년문화포럼
- 상담 및 심리치료
- Human Ecology Research
- 한국아동복지학
- American Psychologist
-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 Child and Family Social Work
-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 Child Welfare
-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확률형 아이템 관련 손해배상에서의 손해액의 산정 - 게임산업법 개정안(김승수의원 대표발의) 제33조의2 제2항을 중심으로 -
- 예술인 사회보장 제도의 현황 분석을 통한 법적 개선방안 제언
- 미성년 스포츠 선수를 위한 스포츠윤리센터의 역할에 관한 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