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대지 XRD 실험자료 대상 k-평균 군집화 모델 적용성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pplication of K-means Clustering Model to XRD Experimental Data in the Korea Plateau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박주영(Ju Young Park) 박선영(Sun Young Park) 최지영(Jiyoung Choi) 김성일(Sungil Kim) 김유리(Yuri Kim) 이보연(Bo Yeon Yi) 이경북(Kyungbook Lee)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7권 5호, 529~53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퇴적물 생성환경 규명에 사용되는 광물조성자료는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으나, 대규모 시료에 대한 조성분석 시 효율적인 분석을 위해 머신러닝 기반 광물조성 분석모델이 개발되었다. 해당 모델은 일반조성 시료에 대해 준수한 분석신뢰도를 보였으나, 특이조성을 가지는 시료에 대해서는 저조한 성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최근 전체 시료 중 특이조성시료를 전문가가 분석할 수 있도록 분류하는 군집화모델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울릉분지 XRD 시료로 개발한 군집화모델의 타 지역 시료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자료는 울릉분지 북서쪽에 위치한 한국대지의 54개 퇴적물 시료에 대한 XRD 실험 및 전문가 광물조성 분석결과로 구성된다. 한국대지 시료의 intensity는 7,420개(3.005-64.996°)로, 울릉분지 3,100개(3.01-64.99°)와 차이를 보여 선형보간을 활용해 일치시켰다. 이후 intensity 비율과 경향성을 보존하기 위해 시료별 최소-최대 정규화를 수행하였다. 전처리한 실험자료에 군집화모델을 적용한 결과, 54개 시료 중 전문가분석은 35개, 머신러닝분석은 19개로 배정되었다. 머신러닝분석으로 판단된 19개 시료 중 false positive(FP)는 0으로, 머신러닝분석 군집에 특이조성시료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FP는 실제 특이조성을 가져 전문가분석이 필요하지만 머신러닝이 분석하는 것으로 판단된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FP가 적을수록 머신러닝 모델 적용 시 높은 분석신뢰도를 기대할 수 있다. 전문가분석의 경우 35개 중 31개 시료가 false negative로 배정되었으며, 이는 머신러닝이 분석해도 무방하나 전문가가 분석해야할 시료 수가 전체의 57%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해당 시료들을 머신러닝기반 조성분석모델로 분석할 경우 2.94%의 높은 평균절대오차의 평균을 보이기 때문에 전문가분석 군집으로 배정된 것을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Mineral composition used to identify the sedimentary environment can be obtained through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However, due to time constraints for analyzing a large number of samples, a machine learning-based mineral composition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This model demonstrated reasonable reliability for samples with usual compositions but showed poor performance for unusual samples. Consequently, a clustering model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o classify the unusual samples, allowing experts to hand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clustering model, developed using XRD data from the Ulleung Basin in previous study, using samples from different regions. Research data consist of intensity profile from XRD experiment and its mineral composition analysis for a total of 54 sediment samples from the Korea Plateau, located northwest of the Ulleung Basin. Because the intensity of samples in the Korea Plateau comprises 7,420 values (3.005-64.996°), differing from 3,100 values (3.01-64.99°) of samples in the Ulleung Basin, linear interpolation was used to align the input feature. Then, min-max scaler was applied to intensity profile for each sample to preserve the trend and peak ratio of the intensity. Applying the clustering model to the 54 preprocessed intensity profiles, 35 samples and 19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expert and machine learning groups, respectively. For machine learning group, false positive was zero among the 19 samples. This means that the clustering model can increase reliability in when mineral composition from machine learning model because unusual sample did not belong to the machine learning group. For the 35 samples in expert group, the 31 samples were classified as false negative (FN). It means that although machine learning model can properly analyze these samples, they were assigned to expert group. However, when these FN samples were analyzed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composition analysis model, a high mean absolute error of 2.94% was observed. Therefore, it is reasonable that the samples were assigned to expert group.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 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위성 원격탐사 기반 메탄 배출 모니터링 기술 현황
- 공극 규모 반응성 운송 모델링의 연산 효율 향상을 위한 지화학 반응 대리 인공신경망 모형 개발
- Denoising Laplace-domain Seismic Wavefields using Deep Learning
- 폐광산 지반안정성 조사용 시추주상도의 분류 및 데이터베이스화를 위한 딥러닝 및 광학문자인식 기술의 적용
- 한국대지 XRD 실험자료 대상 k-평균 군집화 모델 적용성 분석
- 비소 오염토양의 효과적 정화를 위한 열수합성 마그네슘알루미늄-이중층수산화물/왕겨 하이드로차 나노복합체의 형성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에이징 효과 규명
- 지질과학 분야 한국어 대규모 언어 모델 개발
- 광물자원 탐사를 위한 지구화학적 접근
- 딥러닝 기반 지하수위 예측 모델 개발에 있어 데이터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전이학습의 응용
- 도심 습지의 생태계 서비스와 탄소 흡수 평가: 대전 갑천습지 사례 연구
- 몽골 울란바토르 복드칸 궁전 및 초이진 라마사원 벽돌과 기와의 재료학적 특성 및 고고과학적 의미
- 활석, 질석, 해포석, 사문석 등 석면함유 가능성이 있는 광물 함유 제품의 석면 분석 및 광물학적 특성
- Geochemical Characterisation of Magnesian Intrusives within High Grade Migmatite Gneiss Terrain: Insight from Plutons around Iwo Area, Southwest Nigeria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인공위성 원격탐사 기반 메탄 배출 모니터링 기술 현황
- 공극 규모 반응성 운송 모델링의 연산 효율 향상을 위한 지화학 반응 대리 인공신경망 모형 개발
- Denoising Laplace-domain Seismic Wavefields using Deep Learn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