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급식 조리 종사자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분석: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11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vocational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s of school meal cooking workers: focusing on the Gyeonggi-do region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최정희(Jeong-Hee Choi)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19권 5호, 17~3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급식에서 조리 종사자의 빈번한 교체는 심각한 운영 상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본 연구는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이직의도와 근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직업 소명의식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여 이직률을 낮추는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학교 급식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 초, 중, 고등학교 조리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구글 설문지 온라인 설문지법을 활용하여 2023년 12월 4일부터 12월 17일까지 2주간 진행하였다. 총 230명이 본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유효한 응답으로 간주한 설문지 204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인적, 내부적, 물리적 환경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직업 소명의식의 수준에 따라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급식 종사자들의 직업 소명의식이 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에서는 종사자의 직업 소명의식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Frequent replacement of school food service cooks causes serious operational difficu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way to decrease the turnover rate by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school cook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vocational call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December 4 to December 17, 2023, using the Google questionnaire method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ooks in Gyeonggi-do. A total of 230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04 vali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a negative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sense of vocational calling w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school food service workers’ sense of vocational calling was an important factor in mi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 increase employee retention, schools need policies to increase workers’ sense of vocational call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식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소비효능감과 추가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학습몰입과 SCA 이미지 효과를 중심으로
- 브랜드 김치 선택속성과 브랜드 신뢰,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온라인 구매를 중심으로
- 학교급식 조리 종사자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분석: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외식업 주방의 물리적 환경이 주방 직원의 직무만족 및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How perceived risk and protection motivation shape solo female travelers' choice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stination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