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知訥 頓悟漸修論의 本旨 - 返照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12

영문명
The main idea of Chinul[知訥]’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reflective observation[返照]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남영근(Young Geun Nam)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第61輯, 175~20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눌(知訥)의 돈오점수(頓悟漸修)에 대한 기존 연구는 성철(性徹)의 영향으로 교학(敎學)과 관련 있는 해오(解悟)를 선문(禪門)의 깨달음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해 주로 논쟁하였다. 지눌 사상에서 해오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그가 해오점수를 통해서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오히려 증오(證悟)라는 궁극적 경지이고, 증오에 도달하기 위한 반조(返照) 수행의 중요성이다. 돈오점수론의 목표는 자성문정혜(自性門定慧)라는 증오의 경지에 있으며, 수상문정혜(隨相門定慧)의 반복을 통해 자성문정혜(自性門定慧)에 이르는 과정은 점수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반조의 공덕을 쌓아 해오에서 증오로 나아가는 것이다. 지눌이 말년에 제시한 간화경절문(看話徑截門)은 해오점수라는 그의 기존 입장과 모순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간화경절문의 화두참구(話頭參究) 역시 증오-자성문정혜라는 궁극적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반조 수행의 맥락에 있으며, 기존 돈오점수론의 취지와 다르지 않다. 즉 지눌의 돈오점수론은 증오-자성문정혜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반조 수행으로 일관되며, 이것이 ‘밖에서 찾지 말라’는 지눌의 본지(本旨)이다.

영문 초록

Existing research on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mainly debated whether the enlightenment based on understanding, Jie-Wu[解悟] could be recognized as the Zen thought under the influence of Seongcheol[性徹]. Although Jie-Wu is an important concept in his thoughts, what he wants to emphasize through the ‘Jie-Wu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解悟漸修]’ is rather the ultimate enlightenment, Zheng-Wu[證悟],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ing reflective observation, fanzao[返照] to reach the ultimate enlightenment. His theory on samādhi[禪定] and prajñā[智慧] is a process of reaching Zheng-Wu from Jie-Wu by accumulating fanzhao cultivation. The Ganhwa[看話] practice proposed by Chinul in his later years is understood to contradict to his existing theory, but this is also the result of understanding his thoughts centered on Jie-Wu. The key-concepts(話頭) of the Ganhwa practice is also in the context of the practice of fanzhao to reach the ultimate state of samādhi and prajñā[自性門定慧], and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purpose of his existing theory. In other words,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consistent with the practice of fanzhao to achieve Zheng-Wu, which is the main idea of his thought. 'Don't look for outside'.

목차

Ⅰ. 문제제기
Ⅱ. 解悟漸修의 趣旨
Ⅲ. 自性門定慧와 隨相門定慧
Ⅳ. 看話徑截門의 返照修行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영근(Young Geun Nam). (2024).知訥 頓悟漸修論의 本旨 - 返照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불교연구, (), 175-206

MLA

남영근(Young Geun Nam). "知訥 頓悟漸修論의 本旨 - 返照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불교연구, (2024): 175-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