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세권 종상향이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 내방역 사거리를 중심으로
이용수 19
-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Upzoning on House Prices: Focusing on the Naebang Station Intersection in Seoul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 저자명
- 최원준(Won-Joon Choi) 이성원(Seong-won Lee) 이연재(Seong-won Lee)
- 간행물 정보
- 『부동산 도시연구』제17권 제1호, 61~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방역 사거리 지역의 종상향 발표가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차분분석(DID) 방법으로 분석 하였다. 데이터를 각각 아파트, 그리고 연립⋅다세대만주택으로 나누어 분석한 두 가지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Chow Test를 통해 각 그룹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종상향 발표는 내방역 발표지역으로부터 200m 이내 주택 가격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 를 나타냈으며, 특히 연립ㆍ다세대 주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가격 상승이 관찰되었다. 이는 종상향 발표가 해당 지역의 주택 가격에 긍정적인 외부효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아파트에서는 종상향 발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지 않았으나, 연립ㆍ다세대 주택에서는 미래 개발 기대감으로 인한 가격 상승이 더 크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 정비사업 포함 여부 또한 주택 가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비사업 지역의 경우 가격이 더욱 크게 상승 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 입안자들이 종상향과 같은 용도지역 변경 정책의 효과를 고려할 때, 주 택 유형 등 시장 별로 상이한 반응을 예상하고 정책을 설계해야 함을 시사한다. 우리의 연구는 정책 설계 시 주택 유형과 지역적 특성을 함께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종상향 발표와 같은 정책이 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s the Differences-in-Differences (DID) method to examine the impact of upzoning announcements on house prices near Naebang St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wo models: apartments and townhouse & multi-family based on Chow Test result. We find that the upzoning announc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house prices within 200 meters of Naebang Station upzoning area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es for townhouses and multi-family units, suggesting a positive externality. Apartm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however we found significant price rise for townhouse and multi-family units due to substantial future development potential.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acted house prices and there is much greater price increase in the redevelopment projec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policy-makers to anticipate varied market responses to rezoning initiatives and tailor policies to different housing types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upzoning policy impacts on housing markets.
목차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의 자료 및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