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별 전자적 형태의 의약품 첨부문서(e-라벨) 제공 현황 분석: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이용수 33
-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Electronically Provided Package Leaflets (e-labels) among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Europe, Japan, and Singapore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이재성(Jaesung Lee) 양진욱(Jinwook Yang) 권경희(Kyenghee Kwon)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68권 제4호(2024년), 239~25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Recent amendments to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permit certain prescription drugs in South Korea to provide packaging leaflets electronically, referred to as e-labels. As this system has been adopted internationally, variances in information delivery mechanisms necessitate a review to guarantee both readability and utility. This study compares elabel regulations in Korea, Japan, the U.S., Europe, and Singapore. In Korea, the Ac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targets of the drug package insert and allows the e-labels to replace the paper package insert. Japan similarly provides elabels based on the law, but only for prescription drug package inserts for HCPs. Singapore is running a pilot based on guidelines for e-labeling issued by the regulator. It started with the package inserts for HCPs for prescription medicines but has recently expanded its e-labeling to include non-prescription medicines. In Europe, electronically provided medicinal product information is known as ePI, and a pilot project is underway to establish core principles and utilization plans for providing it. In particular, the e-labels will not replace the paper inserts and will ensure maximum accessibility and use of the information by consumers. In the U.S., the proposal to make prescribing information for HCPs available only electronically failed to reach a consensus on the public health benefits, so drug information is still provided in the same way. As e-labeling is a global trend, Korea will adopt it, but institutional mechanisms are needed to reduce drug information blind spots that inevitably occur in the process. We hope that the e-labeling system will be established to ensure consumers’ right to know, reduce drug information blind spot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improving public health.
영문 초록
목차
서 론(Introduction)
방 법(Methods)
결 과(Results)
고 찰(Discussion)
결 론(Conclusion)
감사의 말씀(Acknowledgment)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레바미피드의 용해도가 향상된 사원 고체분산체 시스템
- Drug Approval Package에서의 환자자기평가결과 사용 현황 분석: FDA 2017-2023 허가 의약품을 중심으로
- QbD 기반 이중 방출 제어 매트릭스 정제의 개발 및 용출 특성
- 용융법을 이용한 페북소스타트 고체분산체 개발
- 면역글로불린제제 국가출하승인을 위한 신규 B형간염표면항원항체가시험 유효성 확인 연구
- Applicability of KEAP1 E3 Ligase to the PROTAC Platform
- B형 간염 사람 면역글로불린 역가시험의 측정불확도 평가 사례 연구
- 약학회지 제68권 제4호(2024년) 목차
- 국가별 전자적 형태의 의약품 첨부문서(e-라벨) 제공 현황 분석: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상악 제1대구치 이소 맹출의 간단하고 효율적인 치료법: 직접 싱글 니켈-티타늄 호선 테크닉
- Comparison of the Esthetic Perception on Various Anterior Malocclusion between the Parents of Orthodontic Patients with Different Malocclusion
- 바이오 급속교정의 특별한 발치교정치료법: Preformed C-Wire를 이용한 전치부 타겟 접근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