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mpetitiveness of Unique Venues in Multicultural Spaces in 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Approach

이용수 67

영문명
Competitiveness of Unique Venues in Multicultural Spaces in 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Approach
발행기관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저자명
이형주(Hyoungjoo Lee) Alexandra Broillet 김보영(Boyoung Kim)
간행물 정보
『창조와 혁신』제17권 제2호, 49~114쪽, 전체 6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10,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이 비즈니스 이벤트 장소로서 유니크 베뉴 사업을 확대하는 현상을 근거이론 접근법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복합문화공간의 유니크 베뉴경쟁력 강화 요인과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복합문화공간의 유니크 베뉴 사업 관계자 23명을 일대일 방식으로 인터뷰하고 수집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복합문화공간은 브랜드 홍보와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의 목적으로 유니크 베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자체적 경쟁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비즈니스 이벤트 유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상호작용 전략을 구사한다. 즉 베뉴 경쟁력이 경영철학이나 운영 노하우 등 경영 주체일 경우 전문 서비스를 강화하고, 베뉴 주변의 자연 및 산업/관광 인프라 등 환경이 경쟁력일 경우 환경 인프라를 활용한 패키지 상품 개발, 그리고 건축물이나 전시 콘텐츠 등 베뉴의 보유 자원이 우수할 경우 보유 자원을 활용한 고객 체험 프로그램 개발로 유니크 베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내부 마케팅 역량 강화 및 지역 네트워크 확대와 비즈니스 이벤트의 증가를 가져온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xpanding phenomenon of unique venues in multicultural spaces as locations for business events, focusing on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identify factors and strategies that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unique venues within these spaces. 23 venue managers related to the unique venue businesses in South Korean multicultural spaces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multicultural spaces are engaging in unique venue businesses for brand promotion and creating new revenue opportunities. Additionally, they employ interaction strategies based on their intrinsic competitiveness to enhance cometitiveness among various companies. This study, based on grounded theory in South Korea, show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and future research should verify the models derived from this study through global venue perspectives and actual case studies. Meanwhile, excellent managerial capabilities of venues can strengthen professional services, the uniqueness of local and natural environment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ackage products utilizing external environmental resources, and the excellence of internal resources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customer experience programs using these resources, thereby further enhancing competitiveness. As a result, it provides mplications that marketing capabilities are improved and regional networks are expanded, ultimately leading to increased business events.

목차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3. Method
4. Results
5.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주(Hyoungjoo Lee),Alexandra Broillet,김보영(Boyoung Kim). (2024).Competitiveness of Unique Venues in Multicultural Spaces in 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Approach. 창조와 혁신, 17 (2), 49-114

MLA

이형주(Hyoungjoo Lee),Alexandra Broillet,김보영(Boyoung Kim). "Competitiveness of Unique Venues in Multicultural Spaces in South Korea: A Grounded Theory Approach." 창조와 혁신, 17.2(2024): 49-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