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빅데이터를 활용한 차문화의 사회적 인식에 관한 분석
이용수 45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Social Perception of Tea Culture Using Big Data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이향숙(Hyang-sook Lee) 윤정진(Jeong-jin Youn)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64집, 61~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차 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차문화 활성화 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톰(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인 '차 문화' 키워드를 활용하여 원시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중 1, 2차 데이터 클리닝 과정을 완료한 데이터 중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0개의 핵심 키워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1-모드 매트릭스 데이터셋으로 변환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에서는 문화, 연구, 개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전체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에서는 문화, 매개중심성에서는 역사, 위세중심성에서는 대표가 가장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문화와 연결강도가 가장 높은 것은 연구, 연구와 연결강도가 가장 높은 것은 문화, 개최와 연결강도가 가장 높은 것 또한 문화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인들의 차문화에 대한 관심분야를 파악하고 그들의 차에 대한 욕구나 선호도를 예측하여 향후 우리나라 차문화의 저변확대와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lan to revitalize tea culture in the future by examining social perceptions of tea culture using big data. To this end, raw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keyword 'tea culture' which is big data provided by TEXTOM. Among the collected data, 200 key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 among the data that completed the first and second data cleaning proces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by converting them into a 1-mode matrix datase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frequency analysis, culture, research, and hosting were the most common. Second, in the overall network analysis, culture in connection centrality and proximity centrality, history in mediation centrality, and representatives in prestige centrality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centrality. Third, in the self-network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st connection strength with culture was research, and the highest connection strength with research was also confirmed as culture, and the highest connection strength was also culture and hosting and connection strength. Based on these results,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base of Korean tea culture in the future by grasping the areas of interest in tea culture of modern people and predicting their needs or preferences for te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오미자 음료와 소비자의 SNS 게시 양상 연구
- 차(茶)문화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호안다구박물관 관람객 만족도 연구
- 점필재 문인들의 교유 및 차생활 고찰
- 빅데이터를 활용한 차문화의 사회적 인식에 관한 분석
- Anti-inflammator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using Camellia assamica root extract
- 사원차문화 형성과 의례 연구
- A study on the 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tea plant root’s saponin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Chinese Folk Dance - A Case Study of the Gannan Tea-Picking Dance
- Research on Regional Public Brand Construction Strategy and Practice of Yongjia Wuniu Zao Tea
- Research on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Yatga in Inner Mongolia, Chin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