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 중재전략 연구에서 베이지안 종단자료 분석모형의 유용성 탐색

이용수 303

영문명
Exploring the Usefulness of Bayesian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s in the Study of Special Education Intervention Strateg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여승수(Seungsoo Yeo)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1호, 93~11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적합한 중재전략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는 특수교육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주제에 해당된다. 그동안 관련 주제를 다룬 특수교육연구에서는 주로 빈도주의 통계를 적용함과 동시에 사전・사후 연구설계를 적용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의 사회과학연구 분야에서는 빈도주의 통계가 지닌 한계점에 대한 비판과 함께 신뢰도가 높은 종단자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단자료를 수집한 특수교육상황에서 빈도주의 이론에 기반한 통계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베이지안 종단자료분석모형을 소개하는 목적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베이지안 종단자료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중재전략의 효과성을 검증할 경우, 이전의 연구결과를 매개변수 추정에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연구결과에서 보고한 중재전략의 효과크기를 지속해서 갱신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특수교육분야처럼 사례수가 적은 연구 조건에서도 신뢰도가 우수한 효과크기를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베이지안 이론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주제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Until now, the majority of special education research on this topic has been based on the use of frequentist statistics and pre- and post-test designs. However, recent research in the natural and social sciences has criticised the limitations of frequentist statistics and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reliable longitudinal dat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Bayesian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requentist statistics in special education situations where longitudinal data a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using Bayesian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strategies, it is not only possible to reflect previous studies in parameter estimation, but also to continuously update the effect size of existing intervention strategi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effect sizes with good reliability even in research conditions with a small number of cases, such a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Bayesian theory and future research topic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특수교육 예시 자료를 활용한 베이지안 종단자료분석모형의 분석 절차
Ⅳ. 특수교육 예시자료를 활용한 종단자료 분석 결과
Ⅴ. 특수교육 중재전략 연구에서의 베이지안 종단자료 분석모형의 주요 장점
Ⅵ. 베이지안 이론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승수(Seungsoo Yeo). (2024).특수교육 중재전략 연구에서 베이지안 종단자료 분석모형의 유용성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59 (1), 93-114

MLA

여승수(Seungsoo Yeo). "특수교육 중재전략 연구에서 베이지안 종단자료 분석모형의 유용성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59.1(2024): 93-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