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PACK Designer Thinking 모형을 통한수능듣기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재구성
이용수 32
- 영문명
- Redesigning CSAT listening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 TPACK designer thinking model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진(Hyejin Lee)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3권 2호, 207~23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ioneering research,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designer thinking model is introduced by bridging the five stages of design thinking—empathize, define, ideate, prototype, and test—with the phases of theorizing, practicing, acting, contextualizing, and kicking TPACK. Envisagi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s learning designers, this initiative embodies a transformative approach to revamp CSAT listening components, leveraging generative AI and other cutting-edge technologies to devise customized English learning content to address learners’ diverse needs. The analysis of TPACK-EFL survey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dicates significant gains in participants’ technological knowledge scores post-intervention. In particular, improvements are substantial in technology-related areas such as TK(z = -7.176, p < .001), TCK(z = -4.108, p < .001), TPK(z = -7.307, p < .001), and TPACK(z = -5.764, p < .001), demonstrating the model’s potential to enhance the pedagogical use of technology. Furthermore, the study proposes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could enhance digital literacy by incorporating identified CSAT listening issues into the modified CSAT listening item. These findings offer pedagogical insights and lay the groundwork for educational approaches that empower future educators to harness technology in converting high-stakes CSAT items into a dynamic and customized learning landscap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PACK Designer Thinking 모형을 통한수능듣기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재구성
- A study to der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 effective teacher development program.
- AI 번역기의 활용이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 동료 피드백이 비판적 영어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
- 동양 문화권 국가의 영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직업계 고등학생의 영어 기초학력 진단 및보정을 위한 방안 탐색
- 절대평가 도입 전후수능 영어 3점 문항 지문의 난이도 분석
- Developing a GPT-Based Chatbot Using Advanced Prompt Engineering for English Proficiency Level-Differentiated Reading Questions
- LLM 기반 맞춤형 자동문항생성기의 활용가능성 탐색
- 예비 초등영어교사 요구 분석 기반ChatGPT API 수업 설계 컨설팅 도구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