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요국의 이민정책 전환 사례와 시사점
이용수 252
- 영문명
- Implications of Immigration Policies of Three Countries: The US, Canada & Germany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원
- 저자명
- 최서리(Seori Choi)
- 간행물 정보
- 『미래성장연구』제10권 1호, 89~10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산연령인구가 이미 감소하고, 향후 부양비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에서 는 인구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이민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 만 이러한 고민은 한국만의 것은 아니어서 각국은 이민정책 활용을 생산연령인구 확보를 위 한 주요 전략으로 채택하고 있다. 잠재적 이민자 혹은 이민희망자의 풀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한국이 마주하는 이민정책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외의 정책 동향에 대한 이해가 우선 될 필요가 있다. 최근 정부는 유학생의 취업과 정주를 유도하고, 숙련기능인력(E-7-4) 제도를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된 미국과 캐나다, 독일의 사례를 살 펴보면서 한국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미국과 캐나다의 유학과 취업 연계 사례와 독일에서 정착하게 된 손님노동자 사례를 다룬다. 이러한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서 당장의 노동시장 수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만 전개된 국내 이민정책의 한계를 짚고, 영주이 민에 대한 국내 논의가 더욱 활발해 질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미국과 캐나다의 유학생 정책 전환
III. 독일의 손님노동자정책 전환
I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