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Sensory Marketing Based on Beauty Salon Preference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영희(Young-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5권 제2호, 227~2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2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variations in the five senses of sensory marketing across beauty salon preferences.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30 beauty salon customers.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The selection criteria, preferred forms, and service types, which constitute the three elements of preference for a hair salon, displayed notable distinctions in every aspect of sensory marketing, encompassing visual, olfactory, gustatory, and tactile experiences. Nevertheles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auditory element. Consumers who prioritize skilled expertise and amicable service tended to be particularly attuned to visual, gustatory, and tactile experiences. Conversely, those who select hair salons based on factors like pricing, word-of-mouth referrals, and social media promotion were more responsive to olfactory sensations. In general, auditory aspects were found to play a minor role in overall prefer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opens new avenues for research on sensory experiences in the beauty industry, where emotional factors often influence decision-making. The findings are anticipated to be valuable in leverag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incorporating all five sensory elements in the field of hair sal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5권 제2호 목차
- 수안재활운동이 넙다리근막긴장근의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가정용 뷰티디바이스 구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미용실 고객관계관리(CRM)가 관계품질과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의 모발관심 및 두피·모발관리행동
- 컴퓨터 설계와 3D 프린팅을 이용한 안와부의 맞춤형 보형물 제작
- 환경메시지 프레이밍이 제로웨이스트 화장품 소비자 반응과 지각된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네일 관리 행동과 문제성 네일에 대한 인식 연구
- 올인원크림에 함유된 수크랄페이트 성분의 안면피부 개선효과
- 자연 이미지를 활용한 헤어디자인 제안 연구
- 의료미용 종사자의 WLB가 조직몰입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뷰티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의 헤어·메이크업관리행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 40-60대 여성의 코스메슈티컬 소비특성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전공자들을 위한 퍼스널컬러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교수·학습안 개발
- 국내산 곰취(Ligularia fischen)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 미용실 선호도에 따른 체험마케팅 효과 연구
- 포스트 팬데믹에서 백화점 화장품 소비자 구매행동 변화가 백화점 화장품 판매직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30종 에센셜오일Gardnerella vaginalis 및 Lactobacillus vaginalis에 미치는 항균효과 연구
- 뷰티 소비자가 지각하는 서비스품질과 전환비용, 지속이용의도와의 관계
- 템플 라인을 활용한 디스커넥션 커트 디자인 작품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