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Korean Nail Salon Women and Nail Beauty in New York
이용수 116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Nail Salon Women and Nail Beauty in New York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한정우(Jeong-woo Ha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7권 제2호, 27~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뉴욕의 한인 네일 살롱은 네일 여성과 다양한 인종과 계층의 고객들 사이의 신체 접촉을 상품화한 사업이다. 이러한 신체 접촉은 한인 네일 여성들 사이에 강렬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데, 어깨, 발/다리 등의 마사지와 왁싱 등 다른 사람의 신체와 밀접히 접촉하는 네일 일은, 특히 “다른 사람의 발을 씻기기 위해 몸을 낮추는 자세”라는 비유에서 볼 수 있듯이 부끄럽고 굴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인조 손톱을 덧붙이고 에나멜로 바르는 매니큐어도 한인 네일 여성에게는 문화적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이렇게 네일 일의 낯선 지형에도 불구하고 한국 여성들은 네일 살롱을 하나의 한인들의 새로운 틈새사업으로 개척하고 특화하였다. 그러나 한인 네일 살롱의 이면에는 네일 여성과 고객 사이의 갈등적인 관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를 다른 사람의 몸에 대해 몸으로 작업하는 네일 살롱 일의 특성과 손톱 미화에 대한 상이한 관점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또한, 인종/민족, 계층, 연령에 따른 다양한 네일 패션에 대해서, 특히 백인 전문직여성의 네일 양식과 ‘흑인-네일’에 대해 논의하였다. 네일 패션의 다양한 양식은 인종과 계층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바, 인종, 계층에 따른 상이한 가치의 표현임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Korean nail salons in New York City commodifies physical contact between nail women and customers of diverse backgrounds and this touching evokes intense feelings among nail women. Korean nail women enter into a line of work that is at first entirely unfamiliar since Korean culture generally looks disparagingly at nail salon work because it involves intimate physical contact with another person’s body. Such body work is considered shameful and humiliating, as in the metaphor “lowering oneself to cleanse another’s feet.” Polishing one’s nails with colorful enamel is also frowned upon as behavior that offends the dictates of tradition. Despite the foreign terrain of nail work, Korean women have managed to carve out a formidable wedge in the beauty industr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ail salons. Underlying all this market activity, however, is an uneasy relationship between women working in (nail women) and women working on (customers) nail beautification. This elucidates on the conflict-laden view of body labor and nail beautification. It also examines various nail fashion preferences across spectrums of race/ethnicity, class, age, and especially ‘Afro-nail’ in order to further understanding concerning nail beautification work.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fashions in nail styles vary according to race and class and that these same factors are at work in assigning value to particular expressions of style.
목차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Background
III. Women Working In Nail Beautification
IV. Women Working On Nail Beautification
V.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문사회과학연구 제67권 제2호 목차
- Modern Gender Gap in Presidential Approval Ratings in South Korea
- 아동기 외상이 폭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수치심의 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 20대 남성의 신경성 폭식 경험 및 극복의 의미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 A Study on Korean Nail Salon Women and Nail Beauty in New York
- A Study on the Dynamics of Crisis Resolution - Analysis of Bulgaria's Approach to the Jewish Problem during World War II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Management Review Vol.19 No.2 Contents
- Emotional Labor Among the Service Sector Employees: Evolution of Job Satisfaction with Employee Demographics
- Reverse Logistics Challenges for Sustainable Automotive Business Proces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