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꽃의 유입경로와 찻자리꽃의 변천과정 고찰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route of flower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the change process of flowers on tea table
- 발행기관
- 한국차문화학회
- 저자명
- 홍정숙(Jeongsook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차문화』제4집, 173~19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ea is the beverage of mental and physical discipline and can be a sign of starting a new area of space for enjoying tea. Therefore, the class who enjoyed tea were mainly writers and artists with high knowledge for poem, painting and flowering plant and esthetic sense. As human beings had a rational judgement, they also had a strong desire for expressing themselves to relieve their fatigue from physical activities through leisure, which led to the construction of garden. Garden or pavilion is a special place which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at of escape, dream, freedom and fantasy without sowing and harvesting, and summer and winter, and it has been developed to dynamic and static space with unique culture showing artistic beauty by encouraging human imagination. Flower on tea table was originated in making a miniature of nature such as making small garden with potted flowers, plants and scenery, vase flower and Ramhwa on a part of yard.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roduction route of flowers on tea table and change process of flowers on tea table shown in space for enjoying tea by writers and artists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with their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정원문화
Ⅲ. 꽃의 유입경로와 찻자리꽃의 변천과정
Ⅳ.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