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미국 주식시장의 거래량 정보효과

이용수 8

영문명
Information Effects of Trading Volume and Volatility in Korean and U.S. Stock Markets
발행기관
한국산업경영학회
저자명
김영성(Young Sung Kim) 이은정(Eun Jung Lee)
간행물 정보
『경영연구』第39卷 第2號, 65~7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금융시장은 미국증시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국가 중 하나로 금리 등의 정책도 미연준으로 부터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미국시장과의 정보이전효과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주식시장(KOSPI)과 미국 주식시장(S&P500)의 팬데믹 이전과 이후의 상호간의 정보이전에 대한 영향력과 각 시장의 거래량정보가 변동성과 가격(수익률)에 미치는 관계를 GJR-GARCH-M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시장별, 시기별 차이점을 비교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시장과 미국시장 모두 변동성의 군집현상(ARCH효과)과 변동성의 지속성(GARCH효과)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두 시장 모두 변동성에 대한 위험 프리미엄(risk premium)은 증시에 즉각적으로 반영이 되지 않았다. 둘째, 한국과 미국 주식시장은 상호간의 수익률의 정보이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시장과 미국시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격변동의 비대칭성이 존재하며, 지수가 상승할 때보다 하락할 때 변동성을 더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비대칭성은 ARCH효과와 GARCH효과를 모두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시장과 미국시장 모두 순차적정보도착 가설(sequential information arriv al hypothesis)은 지지하지 못하며, 혼합분포 가설(mixture distribution hypothesis)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당일거래량의 증가는 변동성을 증가시키지만, 변동성의 지속성과 비대칭성은 감소시킨다. 여섯째, 팬데믹 이전(Panel A)에는 한국시장과 미국시장 모두에서 거래량 정보가 즉각적으로 변동성에 반영이 되고, 또한 변동성 정보가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정보이전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Panel B)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국시장과 미국시장 모두 거래량정보에 대하여 효율성이 있는 시장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COVID19 팬데믹 이후 거래량 정보와 변동성의 위험 프리미엄에 대한 시장효율성이 다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으로 인한 부양책이 증시를 회복하고 위험을 관리하는 측면에서는 효과적이었으나 시장거래에 대한 정보효율성 측면에서는 다소 아쉬운 측면이 있다. 향후에도 시장간의 동조화나 인과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희망한다.

영문 초록

Korea's financial market is one of the countries most influenced by the U.S. stock market, and policies such as interest rates are not free from the U.S. Federal Reserv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effect of information transfer with the US market.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the Korean(KOSPI) and U.S.(S&P500) stock market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market's trading volume information on volatility and price(return) were analyzed using the GJR-GARCH-M model. In addition,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y market and period by distinguishing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lustering phenomenon of volatility(ARCH effect) and the persistence of volatility(GARCH effec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the Korean and U.S. stock markets. However, in both markets, the risk premium for volatility was not immediately reflected in the stock market. Second, the Korean and U.S. stock markets were found to have an information transfer effect on mutual returns. Third,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ymmetry in price fluctuations in both the Korean and US markets, and volatility increases more when the index falls than when it rises. Additionally, asymmetry was shown to absorb both the ARCH effect and the GARCH effect. Fourth, both the Korean and U.S. stock markets failed to support the sequential information arrival hypothesis and appeared to support the mixture distribution hypothesis. Fifth, an increase in intraday trading volume increases volatility, but reduces the persistence of volatility and asymmetry. Sixth, before the pandemic, there was an information transfer effect in which trading volume information was immediately reflected in volatility in both the Korean and U.S. stock markets, and volatility information affected returns.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after the pandemic. Considering that both the Korean market and the US market support the mixed distribution hypothesis, it is judged to be an efficient market with respect to trading volume information. However, after the COVID19, market efficiency regarding trading volume information and volatility risk premium was found to have decreased somewhat. Although the stimulus measures due to the pandemic were effective in recovering the stock market and managing risks, they were somewhat disappointing in terms of information efficiency for market transactions. We hope that research on synchronization and causality between markets will continue.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연구
Ⅲ. 분석데이터와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성(Young Sung Kim),이은정(Eun Jung Lee). (2024).한국과 미국 주식시장의 거래량 정보효과. 경영연구, 39 (2), 65-78

MLA

김영성(Young Sung Kim),이은정(Eun Jung Lee). "한국과 미국 주식시장의 거래량 정보효과." 경영연구, 39.2(2024): 65-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