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기업가정신의 원류로서 중상주의 실학사상의 태동

이용수 42

영문명
The Birth of Mercantilism and Silhak Ideology as the Origin of Korean Entrepreneurship: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aegyeong Studies
발행기관
한국경영사학회
저자명
김진수(Jinsu Kim) 송성권(Sungkeun Song) 이한경(Hankyung Lee) 정대율(Dae-Yul Jeong)
간행물 정보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39집 제2호(통권110호), 111~13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경 내에 어떻게 개경학이 형성되고 이것이 중상주의 실학사상으로 연결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개경학이 후일 남명학과 어떻게 융합하여 실학사상의 형성을 가져오는지를 검토하였다. 실학사상의 태동을 살피는 것은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또한, 초ㆍ중ㆍ고등학교 교육 내용 및 교과서의 집필 방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아가 기업가 정신에 대한 연구에도 영향을 미친다. 개경학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실리 및 실용적 가치를 추구와 더불어 다양성과 개방성을 보인다. 다양성과 개방성의 추구는 각계각층의 다양한 인물들을 집결시켰고, 의(義)와 이(利)를 동시에 중시하는 사고의 발전을 가져왔다. 개경학의 다양성 및 개방성은 의를 숭상하고 이를 천한 것으로 취급하던 조선시대 성리학 절대주의사회에서도 생존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후일 중상주의 실학사상으로 이어졌다. 둘째, 통설만을 고집하지 않으며, 상황에 따른 유연한 대처를 보인다. 성리학만이 절대적이지 않음을 주장하는 사고는 16세기 타 학파에(예:남명학파)서도 보이나, 이는 개경학파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셋째, 개경학은 농업과 상업의 보완적 관계를 주장하며, 국가 부의 증진을 위해 상업의 활성화를 강조하였다. 이의 대표적 학자가 이지함이다. 또한 이는 후일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등으로 전수되면서 중상주의 실학사상을 가져왔다. 이들은 유교가 지향하는 농업국가 지상주의를 지양하며, 상업과 공업을 육성하여 지역사회를 발전시킴과 더불어 기술혁신 및 청과의 무역 확대를 통한 문물 수용 등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examine how Gaegyeong Studies was formed within Gaegyeong and how it was able to be connected to mercantilism’s Silhak ideology. In addition, we examine how Gaegyeong studies later merged with Nammyeong studies,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Silhak thought. Examining the emergence of Silhak ideology is histor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it can affect the cont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urthermore, it also influences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The main features of Gaegyeong stud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s diversity and openness along with the pursuit of utility and practical value. The pursuit of diversity and openness brought together diverse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and led to the development of thinking that simultaneously values righteousness and profit. The diversity and openness of Gaegyeong studies later led to mercantilism and Silhak thought. Second, they do not stick to conventional wisdom and show flexible respons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ird, Gaegyeong studies argued for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agriculture and commerce and emphasized the revitalization of commerce to increase national wealth.

목차

Ⅰ. 서 론
Ⅱ. 개경학의 등장 배경
Ⅲ. 개경학의 탄생과 특징
Ⅳ. 남명학과의 만남 및 발전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수(Jinsu Kim),송성권(Sungkeun Song),이한경(Hankyung Lee),정대율(Dae-Yul Jeong). (2024).한국 기업가정신의 원류로서 중상주의 실학사상의 태동. 경영사연구(경영사학), 39 (2), 111-131

MLA

김진수(Jinsu Kim),송성권(Sungkeun Song),이한경(Hankyung Lee),정대율(Dae-Yul Jeong). "한국 기업가정신의 원류로서 중상주의 실학사상의 태동." 경영사연구(경영사학), 39.2(2024): 111-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