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이항 서술어 ‘좋다’의 논항 실현 양상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On argument realizations in the two-place predicate 'cohta': based on messenger corpus
발행기관
형태론
저자명
이상희(Sanghee Lee) 목정수(Jungsoo Mok)
간행물 정보
『형태론』26권 1호, 72~115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어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신저 코퍼스에서 ‘좋다’를 서술어로 한 이중주어 구문을 추출하여 유형별로 통사, 의미적 특성을 기술한 연구이다. 이중주어 구문의 유형을 여섯 가지로 나누고 유형별 출현 빈도를 살핀 결과, 97%의 문장이 유형1(주어+목적어+기술동사), 유형2(주어+목적어+주관동사)에 해당하였고, 최대 실현 명사구 수는 3개임을 확인하였다. 또 유형1, 2는 명사구의 의미적 특성, ‘NP보다’와 호응하는 명사구, 정도 부사의 실현 위치, 조사의 비실현율, 동사구의 확장 가능성 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본고는 연구 대상을 특정 조건으로 한정하여 살폈으므로 연구 결과를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의 일반적인 특징이라고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기존 연구와 달리 조사 ‘이/가’, ‘은/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사 및 비실현된 경우까지 살폈다는 점, 고빈도로 출현하는 유형의 통사, 의미적 차이점을 상세히 검토하였다는 점 등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with the predicate ‘cohta((be) good/like)’, sourced from messenger corpus, finally categorizing them into six types in terms of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A significant finding is that 97% of the analyzed sentences fall into type 1 and type 2, with a maximum of three noun phrases being realized. Type 1 and type 2 are notably distinct in several aspects including the semantic traits of noun phrases, the placement of adverbs of degree, the variability in the use of particles, and verb phrase expansion. Although the research is confined to specific conditions, limiting its general applicability to 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it can contribute to general Korean syntax by exploring a wide range of cases, including those typically unrealized, and highlighting the frequent syntactic and semantic variations beyond just the particles 'i/ka' and 'un/nun'.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이중주어 구문의 실현 양상
4. 가形목적어 구문의 통사와 의미
5. 결론
참고논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희(Sanghee Lee),목정수(Jungsoo Mok). (2024).한국어 이항 서술어 ‘좋다’의 논항 실현 양상 연구. 형태론, 26 (1), 72-115

MLA

이상희(Sanghee Lee),목정수(Jungsoo Mok). "한국어 이항 서술어 ‘좋다’의 논항 실현 양상 연구." 형태론, 26.1(2024): 72-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