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불의 초기 확산단계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이용수 22
- 영문명
- Influencing Factors for Stage Transition from Ignition to Early Stage of Spread of Forest Fires: A Case of East Coast of Gangwon State, South Korea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정진규(Jingyu Jeong) 안수정(Sujung Ahn) 이철원(Chulwon Lee) 임상준(Sangjun 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2, 53~6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산불에 대한 효과적인 조기 대응을 위해서는 산불 발화 후 초기 확산단계로 전환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인자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2007년부터 2019년까지 강원도 동해안 5개 시군에서 발생한 산불을대상으로 산불의 초기 확산단계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 임상도 데이터, 사회·지리적 조건 등의 인자와 산불 초기 확산단계 전환 여부와의 연관성을 독립성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도와 경사, 초동진화자원까지의 거리가산불의 초기 확산단계 전환과 상대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가졌으며, 고도와 초동진화자원까지의 거리는상호작용이 존재하였다. 임상, 수관밀도, 산불 피해지를 관찰하는 감시자원의 개수 등은 상대적으로낮은 연관성을 가졌다. 그러나 침엽수림, 수관밀도가 밀한 곳, 감시자원의 가시권에 포함되지 않는 곳에서 산불 발화 빈도가 높았으므로 산불 예방 및 대응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산불 조기 대응 및 초기 진화 대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dentifying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e the transition from ignition to the early stage of spread is important for effective early response to forest fir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tage transition of forest fires, focusing on those that occurred in five cities along the east coast of Gangwon State in South Korea from 2007 to 2019. The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of factors including terrain, forest characteristics, social and geographical factors of the burned areas with the transition from ignition to early stage of spread, using independenc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elevation, slope and the distance to the nearest initial firefighting resource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stage transition. Forest type, crown density and the number of fire monitoring resources observing burned area showed relatively low association with the stage transition. However, these factors had a 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forest fire occurrence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establishing strategies for early response to, and initial suppression of, forest fires.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2 목차
- 일 지역사회 주민의 걷기 운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행정안전부의 감염병 재난 업무연속성을 위한 코로나19 대응정책의 주요 기능 분석
- 도시철도 인파사고 위험 관리 분석
- e-헬스 리터러시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농업용 저수지 안전점검 및 등급 체계 개선방안 연구
- 배출권거래제 할당기업의 ESG 평가와 기업가치의 관계 연구
- 비대학 청년의 삶에 대한 연구
- 재난 위험 및 자원 운영·관리 시스템
- 산불의 초기 확산단계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 Addressing Issues and Challenges in Disaster Emergency Resource Management: Practical Improvement Strategies for Shandong Province, China
-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서조절곤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비만노인의 성별에 따른 체중조절 행위 관련요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