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崛山門 梵日國師 관련 자료의 검토
이용수 34
- 영문명
- Consideration on the Materials of Gulsanmun Beomilguksa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정동락(Dong-lak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33집, 411~44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굴산문 범일국사와 관련한 자료 중에서 『조당집』과 『삼국유사』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조당집』 「명주굴산고통효대사」전은 범일의 비문을 요약·정리한 승려의 전기이다. 「범일비」는 입적 뒤 진성여왕 말이나 효공왕 때 朴仁範이 찬술했을 개연성이 있다. 굴산사지에서 수습된 비편(음기)에는 溟州都督과 副都督의 관직명이 있다. 비의 건립에 신라의 지방행정조직이 관여했던 듯하다.
『삼국유사』 「낙산이대성 관음정취조신」조는 범일이 낙산사에 正趣菩薩殿을 건립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곳에 인용된 「本傳」은 『조당집』 「범일전」으로 보인다. 「古本」은 굴산문의 선승이 편찬해 범일의 역할을 강조했다. ‘범일이 의상의 문인’이라는 주장은 의상 계통의 화엄종에서 내세운 것으로 파악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Jodangjip』 and 『Samgukyusa』 intensively among the materials of Gulsanmun Beomilguksa(崛山門 梵日國師).
『Jodangjip(祖堂集)』 「Myeongju gulsan gotonghyodaesageon(溟州崛山故通曉大師傳)」 is a monk’s biography that summarizes and arranges the epitaph of Beomil(梵日). There is possibility that 「Beomilbi(梵日碑)」 was compiled by Pak In-beom(朴仁範) either at the end of Queen Jinseong or in the reign of King Hyogong after the entrance into Nirvana. Among the pieces of the tombstone fixed up in Gulsansagi(崛山寺址), two of which words can be deciphered seem to be the body and eumgi(陰記) of the epitaph each. The eumgi tells us the titles of the office of Myeongju dodok(溟州都督) and Budodok(副都督). It seems that in the foundation of the tombstone, Silla’s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had been involved.
『Samgukyusa(三國遺事)』 「Naksanidaeseong Gwaneumjeongchwijosinjo(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條)」 contains how Beomil founded Jeongchwibosaljeon(正趣菩薩殿) in Naksansa(洛山寺). 「Bonjeon(本傳)」 quoted here seems to be 『Jodangjip』 「Beomiljeon」. 「Gobon(古本)」 stresses the roles of Beomil having been compiled by the Zennist of Gulsanmun. Supposedly, the insistence that ‘Beomil was the Munin of Euisang(義相)’ was set forth by the Huayan school(華嚴宗), a line of Euisang.
목차
Ⅰ. 머리말
Ⅱ. 『祖堂集』 「梵日傳」과 「通曉大師延徽塔碑」
Ⅲ. 『三國遺事』 「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조
Ⅳ. 범일 관련 전기 자료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