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제 웅진시기 조상제사와 壇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Ancestral Rite and the Dan During Baekjae Woongjin Period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채미하(Mi-ha Chai)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33집, 185~22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글은 백제 웅진시기 조상제사에 대한 것이다. 백제 왕실은 웅진으로 천도한 직후 한성시기의 동명묘 제사를 이은 ‘建邦之神’에 대한 제사를 지냈다고 하였다. 하지만 동성왕 6년 이후 지배세력의 변화로 ‘건방지신’인 동명이 지배세력을 결집할 수 없게 되자, 동성왕은 ‘제천지’에 ‘건방지신’을 配祀하였다고 보았다. 웅진시기에는 실질적인 조상제사를 지냈는데, 한성시기 諸王에 대한 제사와 웅진시기 직계 조상에 대한 제사가 그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웅진시기 조상제사와 관련된 제사시설은 廟와 壇이 있었는데, ‘건방지신’을 모신 ‘신궁’은 중국 예제의 영향을 받기 전의 廟로 공산성 안에 있었다고 하였다. 한성시기 제왕과 웅진시기 제왕에 대한 제사는 壇에서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웅진시기 조상제사 시설인 壇은 송산리고분군 D지구와 A지구의 方壇石築遺構와 관련 있다고 하였다. D지구는 한성시기 제왕과 관련된 시설이고, A지구는 무령왕을 포함한 무령왕 가계와 관련된 시설이라고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bout ancestral rite during Baekjae Woongjin period. The royal family served ancestral rite to 'Geonbangjisin' which was succeed from Dongmyeongmyo rite after moving the capital city to Woongjin. But after king Dongseong 6 years, there was change in the ruling forces and Geonbangjisin, Dongmyeong could not unify the forcess so that king Dongseong served Geonbangjishin rite together at Jecheonji. And duing this Woongjin period, realistic ancestral rite was performed, and one is the rite to the kings during Hanseong period and the other is the rite to direct ancestors during Woongjin period.
The facilities related with ancestral rite during Woongjin period were Myo and Dan and Shingung enshrined ‘Geonbangjisin’ was Myo that of before age of Chinese Ryeje was affected and it was in the Gongsanseong. The rite to kings during Hangseong period and the rite to kings during Woongjin period were performed in Dan. Dan, the facility for ancestral rites during Woongjin period were related with Songsanri royal king tombs D district and Bangdanseokchukyoogu of A district. D district was the facility related with kings during Hanseong period, and A district was related with king Mooryeong lines as well as king Mooryeong.
목차
Ⅰ. 머리말
Ⅱ. ‘祭天地’와 ‘建邦之神’
Ⅲ. 廟와 壇
Ⅳ. 송산리고분군 方壇石築遺構와 의례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