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제 정치사 논쟁점과 현장교육의 발문
이용수 2
- 영문명
- Baekje Political History Controversy point and Question of Fiel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김주성(Ju-s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26집, 183~20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역사교육의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역사과목에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교사의 발문 위주로 살펴보았다. 다양한 발문은 교사의 강의를 중심으로 하는 ‘알려주는 역사’에서 학생들 중심의 ‘알아가는 역사’로 변화하기 위한 과정의 첫 단계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학생들의 상상력과 추리력·탐구력을 기르기 위해서 교사의 발문을 통한 다양한 관점으로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다. 역사교육의 현장에서 영구불변한 해석이란 없고, 단지 사실을 확정해가는 과정과 가능한 해석만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르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성되었으면 한다.
이 논문에서는 현장교육에서 ‘알아가는 역사’로의 전환을 위해서 백제사 연구과정에서 노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교사들에게 필요한 발문을 구상해 보았다. 최근 탐구학습이 용도 폐기된 오래된 학습방법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여전히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기르는데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최근 발달된 스마트폰은 각종의 지식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에게 근거없는 공상력을 키우기 보다는 근거를 통한 상상력과 추리력, 탐구력을 키워주는 것이 4차 산업 혁명기의 변혁기에 보다 유용한 학습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teacher‘s question made students interested in history subjects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various questions are thought to be the first step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informative history' centered on teacher's lectures to student-centered 'knowing history'.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imagination, reasoning, and explor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istory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e teacher's questions.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no permanent interpretation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but a system to teach that there is only a process and a possible interpretation of facts.
In this paper, I tried to think about the necessity for the teachers to focus on the disputed point in Baekjae 's research process in order to change from Baekjae to' knowing history 'in the field education. Although inquiry learning is regarded as an obsolete learning method in recent years, it still seems to be a useful way to develop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skills. Especially, recently developed smartphone has easy access to various kinds of knowledge and it helps to solve the problem raised. I think that it is more useful learning method to transform the imagination, reasoning, and exploration power rather than to raise students' unfounded imagination throug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시련을 딛고 일어 선 백제
Ⅲ. 백제사의 시기적 쟁점들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