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遼寧省 朝陽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政治的 含意

이용수 16

영문명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ang-style Metal Belts Excavated from Chaoyang, Liaoning Province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최정범(Jung-bum Choi)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36집, 361~40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까지 唐代 유적에서 출토된 唐式 帶裝飾具 중 遼寧省 朝陽에 출토 사례가 집중되는 현상에 주목하면 唐 前期 契丹과 奚의 羈縻統治를 담당했던 營州都督府와의 관련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朝陽地域에서 출토된 帶裝飾具와 공반된 墓誌銘을 토대로 이를 소유한 계층은 7세기 전반에서 8세기 전반 營州都督府와 관련된 軍政官人에 해당된다. 한편 韓半島에서 출토되는 唐式 帶裝飾具 중 朝陽 출토품과 유사한 속성이 관찰되는데, 朝貢-冊封이라는 공식적인 복식의 교류 외에도 아이디어의 교환, 정보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접촉 등을 통한 상호작용을 통해 단발적으로 등장한 것으로 보았다. 결국 遼寧省 朝陽에서 출토된 唐式 帶裝飾具는 단순히 律令官人의 신분을 표상하는 도구에서 그치지 않고 唐 前期 동북지역 羈縻統治의 단면과 역사적 변천과정, 정치·군사적인 관계 속에서 遼東地域의 정세변동과 동북아시아 물질문화의 상호작용 모델을 제시해 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도 그 의미는 작지 않다.

영문 초록

Comparisons of artifacts such as Tang-style metal belt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sites of the Tang Dynasty and Chaoyang, Liaoning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ingzhou Commandery (Yingzhou Dudufu), which enforced the Jimi system on servants, and the Khitan people during the early Tang Dynasty. Examinations of the epitaphs and belt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Chaoyang area reveal that they belonged to military government officials of the Yingzhou Commandery throughout the early 7th century to the early 8th century. Meanwhile, among the Tang-style metal belt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similar properties to those excavated from the Chaoyang district were observed. These were believed to have emerged on a short-lived basis through exchanges of ideas and social contacts based on the flow of information, in addition to official exchanges of clothing in what was known as the tributary system. Ultimately, the Tang-style metal belt ornaments unearthed in Chaoyang, Liaoning, not only represent the status of law officials. They also signify the interaction model of Northeast Asian material culture with changes in the political and military relations in the Liaodong area against the cross- section of the Jimi system of the northeastern region during the early Tang Dynasty.

목차

Ⅰ. 序
Ⅱ. 出土事例 檢討
Ⅲ. 唐式 帶裝飾具 出土 古墳의 年代와 所有者의 性格
Ⅳ. 唐式 帶裝飾具로 본 營州都督府와 文化的 相互作用
Ⅴ. 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정범(Jung-bum Choi). (2020).遼寧省 朝陽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政治的 含意. 한국고대사탐구, (), 361-400

MLA

최정범(Jung-bum Choi). "遼寧省 朝陽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政治的 含意." 한국고대사탐구, (2020): 361-4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