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락국기』 편찬과 역사적 의미

이용수 15

영문명
Compilation of Garakkukgi and Its Historical Meaning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유우창(Woo-chang Yoo)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36집, 243~27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가락국기』의 편찬에 영향을 미친 시대적 배경과 구성 내용의 바탕이 된 저본들을 살펴보고, 결과적으로 『가락국기』라는 역사서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고려 전대에 걸쳐 이른바 전성기라 칭할 수 있는 문종대에 『가락국기』는 편찬되었으며, 그것을 후대의 일연이 줄여서 자신이 편찬한 『삼국유사』에 실었다. 그와 같은 과정이 없었으면, 『가락국기』는 아마 失傳되었을 것이다. 『가락국기』는 내용상 가야사를 전론한 유일한 문헌기록이다. 『삼국지』, 『일본서기』 등 외국 문헌과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 간간히 실려 있는 가야 관련 기록들과 함께 가야사 연구의 기초적 사료가 된다. 이와 같이 중요한 『가락국기』가 편찬된 배경으로서, 우선 종래 알려져 온 바대로 문종대 세력가인 인주 이씨가 자신들의 조상을 드높이기 위해 기울인 노력 혹은 기여가 있었음을 높이 평가해야 하지만, 그에 더하여 가락국 고지인 금주에 대한 고려 조정의 위상과 역할 부여도 일정부분 주목해야 할 것이다. 『가락국기』를 편찬하기 위하여 활용된 저본들 중 『개황력』은 편찬 시기가 투항한 가야인들에 대한 우대 정책이 가장 강하게 시행되었던 진흥왕대로 보이며, 『가락국기』 중에 포함된 가락국 강역의 기록은 가락국이 가야의 대표라는 인식이 신라를 거쳐 고려 때까지 내려왔음을 뜻하는데, 결국 『가락국기』가 내포하는 가장 강력한 역사적 의미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period that influenced the compilation of Garakkukgi(『駕洛國記』) and the texts that served as the basis for the contents of the composition, and consequently, to rethink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historical book Garakkukgi. As is well known, Garakkukgi was compiled in King Munjong Period, the so-called heyday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later Ilyeon(一然) was abbreviated and Samgukyusa(『三國遺事』) was published by him. Without such a process, Garakkukgi would not have been passed on. Garakkukgi is the only documentary record devoted to the history of Gaya. Along with foreign literatures such as Samgukji(『三國志』) and Ilbonseogi (『日本書紀』) and records related to Gaya that are occasionally published i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 it becomes a basic source of Gaya’s history research. As the background of the compilation of such an important Garakgukgi, first of all, as it has been known, we must highly appreciate the efforts or contributions made by Inju Lee, an influential family member of the King Munjong Period, to exalt their ancestors. In addition,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status and role of the Goryeo Dynasty in Geumju, the former land of Garakguk. Among the texts used to compile the Garakgukgi, Gaehwangreok(『開皇曆』) appears to be recorded in the period of King Jinheung, when the preferential policy for surrendered Gaya people was most strongly enforced. It has the meaning that the recognition as the representative of Silla passed down to Goryeo, but in the end it is inevitable that it is the historical meaning of Garakkukgi.

목차

Ⅰ. 머리말
Ⅱ. 『가락국기』 편찬의 배경
Ⅲ. 『가락국기』 편찬의 저본
Ⅳ. 『가락국기』의 역사적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우창(Woo-chang Yoo). (2020).『가락국기』 편찬과 역사적 의미. 한국고대사탐구, (), 243-276

MLA

유우창(Woo-chang Yoo). "『가락국기』 편찬과 역사적 의미." 한국고대사탐구, (2020): 243-2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