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백의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이용수 31

영문명
The Theoretical Model on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최미경(Mikyung Choi) 이무용(Muyong Lee)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6권 제1호, 119~14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백의 장소성은 ‘여백’을 단순히 비어있는 공백이 아닌 ‘장소적 가치와 의미를 가지는 공간’으로 능동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시론적 개념이다. 이 연구는 여백의 장소성을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여백’과 ‘장소성’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 사례 연구, 전문가인터뷰 등을 종합하여 여백의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을 여백의 장소성의 범주, 사례 분석틀, 실천 전략으로종합 정리한 3W 모델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백의 장소성 범주는 여백의 장소성을 개념, 구성, 유형, 생성, 체험, 특징으로 설명하는 통합적 접근방식이다. 둘째, 여백의 장소성 사례 분석틀은 여백, 인간 활동, 의미를 주요 항목으로 여백의 장소성 유형별 사례를 이해하는 틀이다. 셋째, 여백의 장소성 실천 전략은 여백의 장소 전략과 마케팅전략으로 현장에서 여백의 장소성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 프로세스이다. 이 연구는 여백의 장소성에 대한 이론적논의뿐만 아니라 유형별 대표 사례, 여백의 장소성 조성 사례, 장소마케팅 방안을 적용하여 이론의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여백의 장소성을 이해하고 정량화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였다. 여백의 장소성이론적 모델은 피로 사회 속 인간 상실과 산업 사회 장소 상실의 대안적 장소를 만드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도시재생 사업 등 사회문화적 활용과 비움의 라이프 스타일을 실천하는 개인의 실천적 삶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is a preliminary concept to actively interpret ‘the white space’ as ‘a space with value and meaning of the place’ rather than simply as an empty space. This study aims to build a theoretical model for discussing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3W model was derived that summarized the theoretical model on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into The category, The case analysis framework, and The practice strategy. First, As an integrated approach to explaining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Second, The case analysis framework of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was derived. Third, The practice strategy of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was presented. This study verified the practicality of the theory by applying not only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but also representative cases by type, cases of making placeness of white space, and place marketing measures. This provided a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quantifying, and evaluating the placenesss of white space. The thoretical model on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can be used to create an alternative place for the loss of humanity and placelessness in an industrial fatique society, and can contribute to socio-cultural use and the practical life of individual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여백의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경(Mikyung Choi),이무용(Muyong Lee). (2024).여백의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문화역사지리, 36 (1), 119-145

MLA

최미경(Mikyung Choi),이무용(Muyong Lee). "여백의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문화역사지리, 36.1(2024): 119-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