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북전단등 살포행위에 대한 입법규제의 딜레마

이용수 2

영문명
Dilemma of Legislative Regulation on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발행기관
한국테러학회
저자명
김선일(Kim, Sun Il) 백남설(Baek, Nam Seol)
간행물 정보
『한국테러학회보』제16권 제4호, 50~70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난 9월 26일 헌법재판소는「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상 대북전단등 살포행위 규제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을 선고하였다. 이로써 2000년대 이후 점차 심화되어 왔던 대북전단등 살포행위와 그 규제를 둘러싼 국·내외의 첨예한 대립 문제가 일단락되는 모양새다. 정부 역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에 발맞춰 다양한 후속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북전단등 살포행위 규제가 표현의 내용에 대한 제한인지 아니면 표현의 방법에 대한 제한인지를 두고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의 견해가 나뉘었다. 어느 것으로 해석하는가에 따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7인의 위헌의견은 대북전단등 살포행위 규제를 표현의 내용에 대한 제한으로 보면서 그 제약에 있어서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설시하였다. 그러면서 대북전단등 살포행위에 대해 형사처벌 등으로 규제하지 않더라도「경찰관직무집행법」제5조 제1항의 적용 또는「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상 신고제와 유사한 제도의 도입을 통해 표현의 자유를 보다 덜 제약할 수 있는 수단들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즉 대북전단등 살포행위 규제조항은 침해최소성원칙 등에 위배된다는 입장을 취했다. 그렇지만 대북전단등 규제조항이 위헌으로 선언되었다는 것과 별도로, 향후 전단등이 북한으로 계속해서 살포될 경우 남북간 긴장 고조 및 접경지역 주민들의 안전 문제는 계속 제기될 수 있다. 또한 향후 대북전단등 살포행위의 규제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정치 또는 안보 환경이 조성된다면, 헌법재판소가 위헌결정의 이유로 제시하고 있는 사항들을 제거한 다음 새로운 형태의 입법적 규제를 시도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헌법재판소의 위헌의견이 제시하고 있는 표현의 자유를 보다 덜 제약할 수 있는 수단들에 대한 규범적·현실적 측면에서의 검토가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하에 이 글에서는 헌법재판소의 결정 요지를 살펴보고, 대북전단등 살포행위 규제의 규범적·현실적 한계 – 특히「경찰관직무집행법」제5조 제1항의 적용 또는「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상 신고제와 유사한 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 를 중심으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On September 26, 2023,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unconstitutional the provisions regulating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under the Act on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s a result, the issue of the sharp conflict at home and abroad surrounding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and its regulations, which has gradually worsened since the 2000s, appears to be coming to an end. The government also appears to be taking various follow-up measures in line with the above Court's decision to find it unconstitutional. Meanwhile, the opinions of the above Court judges were divided on whether the regulation on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was a restriction on the content of expression or a restriction on the method of expression. Depending on how you interpret it, the degree of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may vary. In particular, the seven people's unconstitutionality opinion viewed the regulation of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as a restriction on the content of expression and argued that strict standards should be applied to such restrictions.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distribution of leaflets against North Korea is not regulated by criminal punishment, freedom of expression is prot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rticle 5, Paragraph 1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or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similar to the reporting system under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It was believed that there were less restrictive means available. In other words, it took the position that the provisions regulating the distribution of leaflets against North Korea violate the principle of minimal infringement. However, apart from the fact that the anti-North Korea leaflet regulations were declared unconstitutional, if leaflets continue to be distributed to North Korea in the future, tens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ill increase and safety issues for residents in the border area may continue to be raised. In addition, if a political or security environment is created in the future that actively supports regulation of the distribution of anti-North Korea leaflets, the removal of the matters presented by the above Court as reasons for its decision to be unconstitutional and then the possibility of attempting a new form of legislative regulation won’t be completely excluded. Therefore, a review of means that can less restrict freedom of expression suggested by the above Court's unconstitutionality opinion is required from a normative and realistic perspective.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gist of the above Court’s decision and analyzed and evaluated the decision of the above Court, focusing on the normative and realistic limits of regulating acts such as the distribution of leaflets to North Korea - 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Article 5, Paragraph 1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or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similar to the reporting system under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 and then drew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대상결정 요지
Ⅲ. 대상결정 분석 및 평가
Ⅳ.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일(Kim, Sun Il),백남설(Baek, Nam Seol). (2023).대북전단등 살포행위에 대한 입법규제의 딜레마. 한국테러학회보, 16 (4), 50-70

MLA

김선일(Kim, Sun Il),백남설(Baek, Nam Seol). "대북전단등 살포행위에 대한 입법규제의 딜레마." 한국테러학회보, 16.4(2023): 50-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