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시·도별 R&D 투자의 효율성 및 유효성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R&D Investment Efficiency & Effectiveness In 16 Korea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Using Network DEA
- 발행기관
- 한국지역경제학회
- 저자명
- 배세영(Bae, Se-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역경제연구』제10권 제2호, 87~1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표는 우리나라 16개 시·군의 R&D 투자에 대한 효율성 및 유효성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자료포락분석)의 모형 중 CCR과 BCC 모형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하였던 단계별 효율성 및 유효성의 개념을 Network DEA 모형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기간은 데이터 자료가 가능한 2007년부터 20010년까지로 정하였다. 실증분석에 의하면, 1단계의 효율성에서는 강원, 경북, 광주, 대구, 대전, 서울, 전남, 제주 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충남과 울산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의 유효성 측정에 있어서는 경기, 경북, 서울, 울산, 제주, 충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남과 부산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효율성의 측면에서는 경북, 서울, 제주가 가장 높았고, 충남과 울산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1) Network DEA 방식의 결과와 저자가 최근에 사용했던 기존의 (2) DEA-CCR 방식과 (3) 동태적(dynamic) DEA 방식의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세 방법 모두 효율성 또는 유효성이 제일 높은 시·도와 낮은 시·도가 유사하게 측정되어 일관성 또는 강건성(robustness)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imat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R&D investment in 16 Korea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by Network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Due to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DEA models such as CCR and BCC models, recently, the Network DEA model is developed to estimat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with multi-stages. The periods covered in this analysis include from 2007 to 2010. We have found the followings: (1) In the first stage, Gangwon, Gyeongbuk, Gwangju, Daegu, Daejeon, Seoul, Jeonnam, and Cheju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scores, while Chungnam and Ulsa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the second stage, Gyeonggi, Gyeongbuk, Seoul, Ulsan, Cheju, and Chungnam illustrated the highest effectiveness scores, while Gyeongnam and Busan showed the lowest scores. (2) By the comparisons of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with (a) CCR model and (b) dynamic DEA model, one can notice that the results from Network DEA are as robust as traditional models. This paper may provide a policy issue for the major cities and provinces of Korea not only to put more effort on R&D investment activity but also to have a better quality of R&D management in order to achieve higher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in near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방법론
Ⅳ. 실증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부문 적응능력의 다중속성 분석
- AMOS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2012 대전세계요리사대회 방문만족도 연구
- VAR 모형을 이용한 주택담보대출과 거시경제변수간의 관계 연구
- 우리나라 시·도별 R&D 투자의 효율성 및 유효성 분석
- 지방중소기업 상장 창구로서의 기업인수목적회사제도(SPAC) 개선방향
-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지원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 도시마케팅 전략계획과정에 따른 관람객 인식 차이 연구
- 전라남도 관광산업의 위성계정 추정
- 지역자원을 활용한 엑스포 개최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 지역 활성화 전략 측면에서 본 일본 기업메세나 활동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