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녀관리자의 리더십 및 네트워크 특성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Effect of Leadership Style and Network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Managers on Their Career Success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임희정
- 간행물 정보
- 『여성연구』통권 제120호, 71~9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업 내 여성관리자가 부족한 현실에서 남녀관리자를 대상으로 리더십 및 네트워크
특성을 비교하고 그 특성이 관리자의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리더십 유형 자체에는 성별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관리자의 경우 직급이 높아질수록 과업
지향적 리더십을 더 발휘하였으며, 과업지향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조직 내 오르고 싶은 목표지위가
높아졌다. 한편,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에서는 남녀관리자 모두 네트워크 크기가 클수록, 네트워크
지위가 높을수록 경력성공인 직급과 승진목표지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그 효과는 여성관리
자에게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관리자의 경력성공을 위해서는 다양
한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이 중요하며, 조직차원에서도 네트워크 기회를 제공하고, 경력개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구조적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Considering the lack of female managers in reality, this study compared
leadership style and network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managers
and analyzed the impact of gender difference on managers' career
suc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leadership style, but female managers demonstrated more task-oriented
leadership as their position increas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task-oriented leadership of female managers, the higher the target status
they want to climb in the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larger the
network size and the higher the network status of both male and female
managers, the more positive the impact was on their position and
promotion target status. The effect was more pronounced among female
manage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social
networks are important for the career success of female manager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network opportunities and create structural
conditions to motivate career developmen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직사회 개방형 직위 임용의 양성평등 문제: ‘유리문 효과(Glass Door Effect)’ 가설의 유효성
- 여성 관리직 종사자의 일자리 이탈 원인분석
- 남녀관리자의 리더십 및 네트워크 특성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
- 범죄구성요건으로서의 스텔싱
- 가족친화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검증
- 군대 내 성희롱・성폭력 예방 및 대응 정책 수행 경험에 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을 중심으로
- 중년여성의 원가족 건강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에 의한 갈등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 전라북도 거주 여성 청・중년층의 지속거주의사 영향요인 탐색: 지방정부의 재정지출과 지방정부 인식을 중심으로
- 경력단절여성 대상 경력개발 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여성 목회자의 여성-되기 경험에 관한 비판적 질적연구
- 중년(40~49세)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생활세계: “온전한 개체로서의 삶”
- 사회서비스업 분야 기업의 조직문화가 여성관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일-삶 균형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