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다중병렬매개효과

이용수 28

영문명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저자명
김수란(Sura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8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불확실성이 높은 시대적 상황에서 직업인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시기에 놓인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교육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내용적 요소를 확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4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 전공계열, 대학소재지에 따라 진로적응성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고,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해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인들의 다중병렬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진로적응성은 학년과 전공계열, 대학소재지에 따라 유의한 수준에서 평균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다중병렬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소 중 낙관성과 희망에서만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대상 진로교육을 구안하고자 할 때 취업에 임박한 고학년일수록, 지역에 위치한 대학일수록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심리자본 중 낙관성과 희망의 중요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nt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career education plans to improve the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transition into the workforce in an era of high uncertainty. For this purpose, 463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according to gender, grade, major, and university location, and the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test the multiple parallel mediation effects of the componen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As a result, first, career adaptability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y grade, major, and university location, and no differences by gender. Second, when analyzing the multiple parallel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only optimism and hop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hil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componen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when designing career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e importance of optimism and hope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improve career adaptability among senior students who are close to employment and local univers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란(Suran Kim). (2024).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다중병렬매개효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 (2), 1-20

MLA

김수란(Suran Kim).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다중병렬매개효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2(2024):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