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반야바라밀(Prajñāpāramitā)은 멸진정(Nirodhasamāpatti)인가?

이용수 17

영문명
Would the Perfection of Wisdom (prajñāpāramitā) be a Creative/Forced Interpretation of the Absorption of Extinction (nirodhasamāpatti)?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이영진(Young Jin Lee)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第60輯, 71~1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은 흔히 ‘반야의 완성’으로 번역되며, ‘최고의 지혜’를 의미한다. 학계에서는 ‘반야바라밀’이 단어가 의미하는 바대로 ‘개념적 이해를 동반한’ 지혜인지 아니면 이러한 이해가 불가능한 선정인지에 대해 활발한 논쟁이 있어왔다. 본 논문은 그동안 이러한 연구의 주된 대상이 되었던 『반야경』을 벗어나, 『십지경(十地經)』을 대상으로 반야바라밀을 살펴보았다. 이는 『십지경』에 반야바라밀을 멸진정(滅盡定) 혹은 상수멸(想受滅)이라는 선정과 동일한 것으로 암시하는 서술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II장에서는 제6 현전지에 머무는 보살부터 “멸진에 들어가지만(nirodhaṃ samāpadyate) 이를 실현하지는 않는다”는 『십지경』제7지의 서술을 통해 멸진정(nirodhasamāpatti)의 흔적을 찾았다. 그리고, 제6 현전지의 ‘반야바라밀이라는/에 머뭄(prajñāpāramitāvihāra)’을 이 멸진정의 후보로 뽑았다. III장에서는 『십지경』제3지에서는 아홉 단계의 연속적인 머뭄(九次第定)에서 가장 높은 아홉 번째 단계의 멸진정을 제한 8단계의 선정을 차례대로 설명하고 있는 서술을 통해, 선정단계의 맥락에서는 제6지의 ‘반야바라밀이라는 머뭄'과 멸진정을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음을 밝혔다. IV장에서는 ’멸진의 실현‘이 사제관의 맥락에서나 멸진정의 맥락에서나 모두 현생이 마지막 생이 되어 윤회로부터 벗어나는 아라한이 된다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을 밝혔다. 따라서 ‘멸진을 실현하지 않는다(na nirodhaṃ sākṣātkaroti)’는 서술은 모든 붓다의 속성[佛法]을 갖추어 붓다가 될 때까지 최종적인 열반을 유예하는 보살의 방편(方便 upāya)과 관련이 있음을 유추하였다. V장에서는 대비심(大悲心)과 이에 기반한 ‘중생의 무리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보살의 결심이 멸진정이 아니라 ‘반야바라밀이라는/에 머뭄’으로 명명되는 직관적 체험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주류불교의 견도체험과 비견될 수 있는, 빛의 형태로 이루어진 이러한 체험은 모든 인식이 불가능한 멸진정과는 동일한 상태가 아님을 밝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십지경』에서 반야바라밀은 ‘반야바라밀이라는/에 머뭄’이라는 선정으로 나타나며, 『십지경』의 편집자들이 이타심이라는 동기를 기반으로 ‘열반의 유예’라는 결과를 초래하기 위하여 멸진정을 변용한 해석임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ajñāpāramitā is often translated as the perfection of wisdom, meaning ‘the highest wisdom.’ There has been an active debate in academic circles as to whether this perfection of wisdom is a kind of wisdom with conceptual understanding or a concentration beyond such understanding. This paper moves away from Prajñāpāramitā texts, which have been the main focus of such studies, and examines the perfection of wisdom in the Daśabhūmikasūtra. This is because there are narratives in the scripture that imply that the perfection of wisdom is the same as the absorption of extinction(nirodhasamāpatti) or the cessation of ideation and feeling(saṃjñāvedayitanirodha). In Chapter II, this paper finds traces of the absorption of extinction in the seventh stage of the Daśabhūmikasūtra, which states that bodhisattvas from the sixth stage (i.e., abhimukhī bhūmiḥ) can “enter into extinction (nirodhaṃ samāpadyate) but do not realize it.” It singles out the ‘dwelling of/in prajñāpāramitā (prajñāpāramitāvihāra) of the sixth stage as a candidate for the absorption of extinction. Chapter III clarifies that, in the context of successive dwellings (anupūrvavihāra), the dwelling of/in prajñāpāramitā equates to the absorption of extinction (nirodhasamāpatti), given the narrative of the third stage (i.e., prabhākārī bhūmiḥ) describes eight dwellings successively except for the nirodhasamāpatti, the culminating point of this succession. In Chapter IV, this paper shows that the ‘realization of extinction (nirodhasākṣātkriyā),’ both in the contex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context of nirodhasamāpatti, results in becoming an arhat who will be free from saṃsara after this life. It, therefore, infers that the statement “he/she does not realize extinction (na nirodhaṃ sākṣātkaroti)” relates to bodhisattvas’ means (upāya) postponing final nirvāṇa until he will have attained all the attributes of the [perfectly enlighted] Buddha(s). Chapter V points out that bodhisattvas’s resolve to “not give up on the sentient beings by not realizing the reality limit” based on great compassion gives rise to the intuitive experience of “dwelling of/in prajñāpāramitā” instead of nirodhasamāpatti. This intuitive experience in the mode of shining light, which can be compared to the experience of the path of vision in mainstream Buddhism, is not the same as the absorption of extinction. Through these steps, this paper suggests that in the Daśabhūmikasūtra, the perfection of wisdom presents itself as concentration and that the author(s) or editor(s) of the Sūtra, keeping in mind the altruism of bodhisattvas, have transformed the nirodhasamāpatti into prajñāpāramitāvihāra, expecting the result of ‘postponing final nirvāṇa’ for the sake of all other beings.

목차

Ⅰ. 시작하며
Ⅱ. 문제의 발단: 『십지경』 제7지의 서술
Ⅲ. 『십지경』 제3지: 여덟 연속적인 머뭄
Ⅳ. 멸진에 머무르지만 실현하지 않는다
Ⅴ. 반야바라밀, 멸진정의 창조적인 해석인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진(Young Jin Lee). (2024).반야바라밀(Prajñāpāramitā)은 멸진정(Nirodhasamāpatti)인가?. 불교연구, (), 71-100

MLA

이영진(Young Jin Lee). "반야바라밀(Prajñāpāramitā)은 멸진정(Nirodhasamāpatti)인가?." 불교연구, (2024): 71-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