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태소양 관점에 따른 2022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관련 내용 분석

이용수 29

영문명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Literacy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서정아(Jung-Ah Suh)
간행물 정보
『미래교육현장연구』44권 2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후 변화에 따른 위기를 대비하여 개정 교육과정은 생태전환교육을 2022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요소를 생태소양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2022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부연 내용이며, 이를 생태소양의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 과정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교육과정별, 영역별, 학문분야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2022 개정은 2015 개정에 비해 성취기준이나 부연내용에서 생태소양 관련 내용이 증가하였으며, 각 영역별로도 그 수가 증가했다. 그러나 영역별 빈도 분포는 유사하여, 두 교육과정 모두 인지적, 과정적, 실천적 영역 순서로 많았으며 정서적 영역의 수가 가장 적었다. 세부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두 교육과정 모두 지속가 능발전 지식이 가장 많았고 생태감수성 영역이 가장 적었다. 학문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공통, 생명과학, 지구과학 분야가 많았고 물리학, 화학 분야의 수는 적었다. 자연에 대한 경이로움을 느끼는 정서적 영역의 경험이 생태소양의 함양을 위해 중요하다는 선행 연구들을 고려해볼 때 정서적인 영역의 성취기준에 대한 체계화와 세분화가 필요하다. 또한 과학의 학문 분야별로 고르게 생태소양 관련 내용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생태소양 내용이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명시되어진다면 현장에서 생태전환교육을 구현하는 것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In preparation for the crisis caused by climate chang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lements of ecological tranformation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literacy.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supplem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2022 and 2015. They were divided into cognitive, affective, practical, and process areas of ecological literacy, and compared and analyzed by curriculum, area, and academic field. In the 2022 the content related to ecological literacy increased compared to the 2015 in all areas. However, the frequency distribution were similar in both curricula, which is in the order of cognitive, process, and practical areas, and the number of emotional areas was the smallest. As a result of analyzing by detailed area, both curricula had the most knowledg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least area of ecological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academic field, there were many common,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 fields, and the number of physics and chemistry fields was small. Considering that the experience of affective areas, such as feeling the wonder of nature, is important for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literacy, more standards of emotional areas are needed. It also proposes to introduce ecological literacy-related content evenly for each academic field of science. If the contents of ecological literacy are systematically specified in the curriculum, it will be of practical help in implementing ecological conversion education in the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정아(Jung-Ah Suh). (2024).생태소양 관점에 따른 2022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관련 내용 분석. 미래교육현장연구, 44 (2), 1-16

MLA

서정아(Jung-Ah Suh). "생태소양 관점에 따른 2022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관련 내용 분석." 미래교육현장연구, 44.2(2024):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