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하 상사 간 관계 갈등에 대한 업무 갈등과 감성지능의 상호작용 연구
이용수 55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Task Conflict on Relationship Conflict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visors: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 저자명
- 최성원(Sungwon Choi)
- 간행물 정보
- 『경영과 사례연구』제46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하-상사 간 관계에 있어 업무 갈등의 관계 갈등 전이(spillover 현상)에 대하여 그 조절변수로서의 감성지능의 영향에 관해 고찰하였다. 특히 역량 기반 감성지능 모형에 기반하여 직원의 정서적 역량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국내 한 직장인 커뮤니티를 통해 총 113명의 참여자가 온라인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및 계층적 회귀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부하의 감성지능 수준과 부하-상사 간 관계 갈등 사이에는 유의한 부(-)의 관계가 존재하였다. 나아가 업무 갈등과 관계 갈등 사이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감성지능은 업무 갈등과 관계 갈등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감성지능이 높은 직원일수록 업무 갈등의 관계 갈등 전이 현상이 둔화되었다. 요약하면, 정서적 역량이 높은 직원은 상사와의 인간적 갈등 관계를 보다 건설적이고 생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부하의 감성지능은 업무 갈등이 관계 갈등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다루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in the spillover of task conflict into relationship conflict in subordinate-supervisor relationships. Grounded in the ability-based EI model, the research focuses on the emotion management ability of subordinates. Data were collected from 113 employees through an online survey, follow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reveal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I and relationship conflict. Additionally, a significant positive link was observed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Emotional intelligence significantly moderates this relationship, with higher EI attenuating the spillover effect of task conflict on relationship conflict. In summary, employees with higher EI effectively manage interpersonal conflicts with their supervisors, fostering constructive interactions. Furthermore, subordinates’ EI acts as a buffering moderator, preventing task conflict from transforming into relationship conflict. This research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s avenues for future inquiry.
목차
Ⅰ. 서 론
Ⅱ. 기존 연구의 고찰 및 가설 설정
Ⅲ. 연구의 표본 및 방법론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더보기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chatGPT 기능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AUT2 기반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시스템 사용을 통한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플루언서 광고 상품이 구매로 연결되는지 여부에 관한 연구 : 인플루언서의 특징 위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