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발생 후 젠더적 관점의 여성 정신건강 현황과 정책 개선방안
이용수 2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김영택 김동식 강경주 차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23 연구보고서 (기본), 1~365쪽, 전체 36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2
40,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 코로나19 유행 시기 여성에게 불리한 사회환경 및 이로 인한 우울, 스트레스, 자살 관련 연구가 존재하나, 여성과 남성 비교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코로나19 시기 전후의 정신건강 비교 연구가 존재하나, 우울 증상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종단면 자료 활용 연구는 부족함
○ 본 연구에서는 기존 2차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성별 정신건강 수준의 차이를 시계열 분석하고 종단면 자료인 여성가족패널을 활용하여 코로나19 유행 시기 전에 우울 증상이 보이지 않다가 코로나19 시기에 진입한 집단을 확인하고 사회적 경험 변화에 따른 우울 증상변화 분석을 목적으로 함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정신건강정책 법제 현황
Ⅲ. 코로나19 유행 시기 전후 정신건강 추이 및 변화
Ⅳ. 코로나19 시기 경험과 현재 정신건강 현황
V. 코로나19 시기 여성의 경험과 건강요구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3년 성인지 예결산 추진 사업
- 건강하고 안전한 노동환경 보장 연구: 유산·사산을 중심으로
- 과학기술 변화에 따른 노인돌봄의 변화와 성인지적 정책과제
- 코로나 발생 후 젠더적 관점의 여성 정신건강 현황과 정책 개선방안
- 젠더기반폭력으로서 친밀 관계 폭력의 개념화와 대응 방향 모색
- 한부모 가구의 일-생활 균형 정책 개선방안 연구
- 신산업 분야 여성 창업 활성화 방안
- 가족변화 관점에서 가족센터사업 현황 분석 및 개편 방안 연구
- 여성 유권자의 세대별 투표행태 변화와 정책투표에 대한 연구
- 2023 한국의 성인지 통계
- 중장기계획 성별영향평가 활성화 및 성인지예산 연계방향 연구
- 코로나 전환기다문화수용성과 집단간 관계에 관한 연구
- 청년여성의 일자리이동으로 나타난 직업안정성 연구
- 국민참여예산제도와 성인지예산제도의 연국민참여예산제도와 성인지예산제도의 연계 가능성 연구계 가능성 연구
- 성인지 예결산 협의회 및 전문평가위원회 운영 사업
- 미래사회 대응을 위한 양성평등 추진 전략 사업(2023∼2025)
- 미래사회 성평등 정책의 도전과제(Ⅱ): 초고령 4차혁명 사회의 여성 노후소득 보장
- 젠더 관점의 사회적 돌봄 재편방안 연구 (Ⅱ):아동 돌봄 질 제고 전략 모색
- 분야별 성폭력 판례 분석을 통한 법제도 개선방안(Ⅰ) : 학교 성폭력 분야
- 2023년 여성가족패널조사
- 학교 성희롱 성폭력 신고의무제도 법제 정비방안
- 성주류화 제도의 통합적 운영모형 연구(Ⅱ): 국민기초생활보장 부문 적용 가능성 탐색
- 여성 1인가구의 안전 현황과 정책 대응 방안 (Ⅱ):주거위험을 중심으로
- 성희롱 피해자 보호를 위한 사업주의 조치의무 연구
- 근로자녀장려세제와 최저임금제도가 여성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방안 연구
- 2022 한국의 성인지 통계
- 가정 내 폭력 피해자의 통합적 지원 및 보호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NEW
- 여성학논집 제41집 2호 목차
-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의 어려움과 대처를 중심으로
- 노동시장은 성평등해지고 있나? : ‘젠더 갈등’과 노동시장의 성별 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