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재생사업의 초기사업비 및 기반시설비용 조달을 위한 조세담보부금융(TIF) 규모 추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49
- 영문명
- A Study on Application of Tax Increment Financing(TIF) for Initial Expenses and Infrastructure Expenses of Urbar Regeneration Project :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Area in Garibong Area, Seoul
- 발행기관
- 한국도시부동산학회(구.도시정책학회)
- 저자명
- 김영진(Young-Jin Kim) 이주아(Joo-ah Lee) 이훈(Hoon Lee)
- 간행물 정보
- 『도시부동산연구』14권 4호, 185~19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ax Increment Financing (TIF) is the process of raising funds through the increase of taxes in future business areas. The local government treasury department finance is built by the increase of future tax revenue due to the real estate price rise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 TIF has been used in the US especially today. Becaus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an be said to be achieved not only during the project period but also after the end of the project period, in order to finance the local taxation as a collateral,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local residents to be in charge of business management. In this study, We found the possibility of provision for urban regeneration total cost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sustainability and continuity of urban regeneration areas, through the financial simulation for the case region. As compared with urban regeneartion, in the extensive rebuilding apartment houses and residential area redevelopment process, it is difficult for the stakeholder to bear urban regeneration costs additionally, due to the huge land development land and financial donation. This research result will motivate the Tax Increment Financing to proceed smoothly dur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period longer than we expe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사례지역 선정
Ⅳ. TIF를 통한 재원조달 추정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휴공간을 활용한 문화재생시설 방문객의 특성이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준공업지역의 산업변화 분석연구
- 공공성 구현을 위한 도시개발사업에서의 외부공간 평가항목 선정
- 초등 이하 및 중·고등 자녀가구의 주거이동 패턴과 이동 요인 비교 분석
- 모자이크 거버넌스 관점에서 그린인프라의 액티브 시티즌쉽 연구
- 문래창작촌의 상업화와 예술생태 변화 연구
- 도시재생사업의 초기사업비 및 기반시설비용 조달을 위한 조세담보부금융(TIF) 규모 추정에 관한 연구
- 생활인구의 산정방식 및 도시정책 활용을 위한 이슈 고찰
- 지구단위 카라반 친화 캠핑단지 개발모델 연구
- 아파트 관리 서비스가 세대별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도시부동산연구 14권 4호 목차
- 액티브시니어 주거선호 요인에 관한 탐색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