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안정성
이용수 9
- 영문명
- Korean Unification and the Stability of East Asia: A Theoretical Analysis of Stabilizing and Destabilizing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동선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통권 제65호,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의 통일이 동아시아 국제정치의 안정성에 미칠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이에 관해 세 가지 핵심주장을 개진한다. 첫째, 한반도 통일이 동아시아 안정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 통일이 만들어 낼 안정요인과 불안정요인의 개별효과는 대체로 작은 편이며, 그 효과가 서로 상쇄되므로 전체적인 순수효과도 작다. 둘째, 동아시아 국제정치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는 없더라도, 한반도 통일은 지역안정에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다. 셋째, 한반도 통일이 빚어내는 안정요인과 불안정요인은 대개 통일과정의 초반에 발현된다. 따라서 불안정요인을 관리하고 안정요인을 강화할 수 있는 사전준비와 초동대응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would affect the stability of East Asian international politics. Its core arguments are three-fold. First, Korean unification’s impact on East Asian stability may not be all that large. Most of the stabilizing and destabilizing factors produced by unification would have a rather small effect. Their net effect would also be small because their individual effects would partly offset each other. Second, while unification would not bring about a tectonic shift, it coul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gional stability. Third, most of the stabilizing and destabilizing factors would appear in the early phase of the unification process. Therefore, advance preparations and swift responses are essential to amplifying unification’s stabilizing effects and mitigating its destabilizing consequences.
목차
Ⅰ. 서론
Ⅱ. 국제안정성 결정요인: 이론적 검토
Ⅲ. 동아시아 국제정치의 안정요인
Ⅳ. 동아시아 국제정치의 불안정요인
Ⅴ. 결론: 종합평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 2024 북한 주민들의 외부 정보 실태 분석
- [장한재(長漢濟)] 논평 김정은의 '대남노선 전환' 10개월 평가
- [동서독 통일 이후 분야별 통합사례 시리즈] 동서독 통일시 농업 통합 사례와 시사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