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관온도 및 기간에 따른 녹차우린물의 대사체 변화
이용수 19
- 영문명
- Storage Condition-dependent Changes in the Metabolites of Infused Green Tea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송시훈 이선진 추민아 문제학 조정용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29권 제4호, 48~5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LC-MS 대사체 분석 및 다변량 통계분석을 통해 보관온도 및 보관기간에 따른 녹차우린물의 대사체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실온(25℃)과 냉장(4℃)에서 0, 1, 3, 그리고 5일 동안 보관한 녹차우린물들을 대상으로 UPLC-ESI-Q-TOF-MS를 이용하여 대사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녹차우린물에서는 catechin류를 포함한 총 42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LC-MS 대사체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PLS-DA 결과에서 냉장 및 상온에서 보관한 녹차우린물 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냉장보관이 다른 녹차우린물들 간에는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았으나, 상온에서 보관한 녹차우린물들 간에는 확연하게 구별되었다. 즉상온에서 보관기간이 길어질수록 대사체 변화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을 구별하는 주요 성분들(VIP>1.0)은 epigallocatechin, kaempferol glucosyl rhamnosyl glucoside, 그리고 epicatechin gallate을 포함한 12 종의 화합물이었다. 주요 catechin류 등 대부분의 대사체 함량은 상온 또는 냉장보관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보관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에, glucogallin, gallic acid, isoschaftoside, theacitrin A, 그리고 vicenin 2는 실온에서 보관하는 동안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임을 heatmap plot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가정에서 녹차우린물을 보관하여 음용하는데 유용한 자료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ocument changes in the metabolite composition of infused green tea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using LC-MS-based metabolite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Infused green tea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25°C) or in a refrigerator (4°C) for 0, 1, 3, or 5 days. UPLC-ESIQ-TOF-MS showed that 42 compounds, including catechins and flavonoids, were present in infused green tea. PLS-DA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fused green tea samples stored at 4 or 25℃ and between samples refrigerated for different times. On the other hand, metabolites in samples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different times showed more obvious changes. Twelve metabolites with a high VIP score (VIP>1.0) included epigallocatechin, kaempferol glucosyl rhamnosyl glucoside, and epicatechin gallate. A heatmap plo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most metabolites were reduced in infused green tea samples during refrigerated or room-temperature storage. In particular, glucogallin, gallic acid, isoschaftoside, theacitrin A, and vicenin 2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Furthermore, metabolite concentrations were far more sensitive to storage at room temperature than refrigerated storage. The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bout changes in infused green tea metabolite levels during short-term storage.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sucrose, and silver nitrate on in vitro rose flowering
- CRISPR-enhanced iron accumulation in TBR225 rice via OsNRAMP7 overexpression
- 용매 농도와 추출 방법이 개똥쑥 잎의 생리활성 화합물 추출 효율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