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상이몽(同床異夢)적 한반도 종전선언의 위험성과 한계
이용수 11
- 영문명
- The Risk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End-of-war Declaration, which the War Parties have a different perspective on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장광현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28권 제3호(통권 제85호), 119~15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재인 대통령이 제76차 유엔총회 연설을 통해 한반도 종전선언을 국제사회에 재차 이슈화함에 따라 찬반양론이 뜨겁다. 비록 정치적 선언이긴 하지만 종전선언이 북한 비핵화와 깊게 연관되어 있고, 전쟁 당사자들의 생각 또한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한반도에서 전쟁을 영구히 종식시키고 새로운 평화의 시대를 열고자 하는 열망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북한 비핵화’ 문제가 우선적으로 선결되어야만 종전선언 논의가 가능하다는 미국과 이에 맞서 종전선언 이전에 미국의 대(對) 북한 ‘적대시 정책’과 ‘이중기준’ 철폐를 주장하는 북한의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역시 참전 및 정전협정 체결 당사자 자격으로 종전선언 논의에 적극 개입을 주장하고 있어, 종전선언을 북한 비핵화를 위한 입구로 생각하는 문재인 정부의 구상은 사실상 딜레마에 빠진 상태이다. 한반도가 처한 안보상의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종전선언을 평화협정으로부터 별도 분리하여 북한 비핵화를 촉진하고자 하는 특이한 형태의 전쟁 종결방식은 안보상으로도 많은 위험성과 한계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북한 비핵화 협상이 장기간 진전 없이 고착되고 있고, 북한의 군사적 위협 역시 전혀 감소되지 않고 있는 등 현실적으로 종전선언에 대한 필요충분조건조차 조성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만약 종전선언이 가시화될 경우 유엔사 해체 및 주한미군 철수 논란으로 이어져 한미동맹이 약화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정치적 선언에 불과한 종전선언을 무리하게 추진할 것이 아니라, 한미동맹을 더욱 견고히 한 가운데 점진적으로 필요한 여건 조성 노력과 함께, 예상되는 위험성 및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국가안보 차원의 심사숙고와 충분한 검증, 국제적 안전장치 마련 등에 제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영문 초록
As President Moon Jae-in propos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nd the Korean War, which has been in the blackout system for 68 years, and to declare the end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e 76th UN General Assembly, pros and cons are spreading both at home and abroad. However, since the war parties' thoughts on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such as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different, the desire to end the war permanentl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open a new era of peace has many difficulties and risks in reality. North Korea is demanding that the U.S. first abolish its hostile policy and dual standards for North Korea before declaring the end of the war, and the U.S. is sharply at odds as it is in a position to discuss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only if the issue of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resolved first. In addition, China is also a party to the armistice agreement, and it is not possible to fall into a position to discuss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other claims from these war parties, the Moon Jae-in government, which hopes to make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a “entrance” for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faces limitations. Even if the secur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fully considered, the way of ending the war to induce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by separating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from the peace agreement exposes many risks and limitations to the security of Korea. Moreover, th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are stuck for a long time without any progress, and the military threat of North Korea is not reduced at all.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not push forward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which is just a political declaration, without sufficient conditions. Above all, the ROK-US alliance should be strengthened,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sider and verify the national security level of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and to prepare sufficient international safety devices to overcome the expected risk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전쟁 당사자들의 동상이몽(同床異夢)
Ⅲ. 종전선언의 위험성과 한계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략연구 제28권 제3호(통권 제85호) 목차
- 동상이몽(同床異夢)적 한반도 종전선언의 위험성과 한계
- KRIS 회원가입 안내 외
- 발사의 왼편작전과 한반도 사이버 억지전략 제언
- 미국 대외전략 유형분석과 바이든 정부 전략에 대한 함의
- 천안함 폭침이후 5.24조치에 관한 연구
- 근대 대전략 사상의 발전과 한국 전략연구에 대한 시사점
- 미국과 중국의 정보우세 경쟁
- 알고리즘전을 향한 경쟁
- 미사일 메커니즘에서 드러나는 국가 간 정치심리 분석
- 미래 전장환경에 적합한 전차 전력 편성 및 발전 방안 연구
- Operations and Tasks of the Korean Army’s Reserve Forces by the Reduction of Standing Forces
- 예비전력 적정예산 확보를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
- 북한의 사이버 위협 실태와 대응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