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과 중국의 정보우세 경쟁

이용수 20

영문명
The U.S.-China Competition for Information Superiority and Its Implication to Korea: Focusing on data security in the digital age
발행기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저자명
손한별
간행물 정보
『전략연구』제28권 제3호(통권 제85호), 79~11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미중 간의 데이터 경쟁을 분석함으로써, 변화하고 있는 정보전 양상에 대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제시한다. 첫째, “디지털 안보”의 시대에 있어 정보전의 의미는 어떻게 달라졌는가? 위협과 취약성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둘째, 미중의 정보전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 셋째, 미중의 데이터 안보경쟁이 한국에 주는 함의는 무엇이 있는가? 강대국 경쟁 속에서 부각되고 있는 데이터 안보의 개념은 무엇이며, 한국의 핵심전략과 정책이슈들에는 무엇이 있는가?미중 간의 정보우세 경쟁은 정치, 외교, 통상, 산업, 시민사회와 같은 영역을 넘나들고 있으며, 물리영역에서의 기반체계 교란, 정보영역에서의 공격과 방어, 인지영역에서의 메타공격이 더욱 첨예하게 진행 중이다. 이 같은 강대국 경쟁 속에서 능력을 갖추지 못한 국가는 상대적 이익의 불균형을 강요받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데이터 안보를 위한 능력을 구비하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위협을 억제하고 대응해야 함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direction to prepare for the changing aspect of information warfare by analyzing data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information warfare changed in the era of “digital security”? How do threats and vulnerabilities change? Second, how is the information warfare between the U.S. and China going? Third, what implications does the U.S.-China data competition have for South Korea? What are Korea's strategy for data security and policy issues?The competition for information superiority between the U.S. and China is crossing areas such as politics, diplomacy, trade, industry, and civil society. And the forms of information warfare between the U.S. and China are as follows: infrastructure disturbance in the physical layer, attacks and defense in the informational layer, and meta-attacks in the cognitive layer. Given that countries that do not have the ability to compete in this situation are forced to losses their interests, it is emphasized that they should strengthen the ability to secure data and, deter and respond to threats through centralized authorities.

목차

Ⅰ. 머리말
Ⅱ. “디지털 안보” 시대의 정보전
Ⅲ. 미중의 “정보우세” 경쟁과 “데이터”
Ⅳ. 한국의 “데이터 안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한별. (2021).미국과 중국의 정보우세 경쟁. 전략연구, 28 (3), 79-116

MLA

손한별. "미국과 중국의 정보우세 경쟁." 전략연구, 28.3(2021): 79-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