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선교사 자녀의 TCK(Third Culture Kids)로서의 민족정체성 겪음에 대한 본질 탐색

이용수 14

영문명
Exploring the Essence of Missionary Kid's Experience of Ethnic Identity as TCK(Third Culture Kids)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문미경(Mikyung Mun)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76집, 193~21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을 위해 재입학하는 선교사 자녀들의 타국에서의 민족정체성 관련 본질적인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대학교육을 목적으로 귀국한 선교사 자녀(MK)들은 본국으로 재입국해 학업을 감당하게 되면서 적지 않은 적응 관련 여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역문화 충격을 겪는 연구 참여자의 한국 입국 이전의 정체성 관련 본질적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로 심층면담을 주 연구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연구의 방향과 주제를 정하기 위해 두 차례의 예비조사(2016년, 2019년)를 했고, 한국 교육과정을 경험하지 않은 선교사 자녀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와는 두 번의 심층면담과 한 차례의 비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질문지는 예비조사와 선행 연구 등을 토대로 하여 4개 영역-언어, 문화, 집단, 장소 -을 발굴해 정체성 경험을 탐색했다. 더불어 도식면담 자료, Phinney(1992)의 민족 정체성 검사 도구를 이용한 설문조사, 연구 참여자 부모와의 비대면 설문조사, 자기보고식 정체성 그래프로 풍성한 연구 결과가 도출되도록 했다. 결론 및 제언 : 연구 결과, TCK로서 선교사 자녀들은 네 개의 영역 관련해 나라간 이동과 이탈과 불일치를 순차적으로 겪으면서 정체성 혼란에 이름을 알 수 있었다. 결국, TCK인 MK는 네 개의 영역과 관련해 주로 ‘소수자’로 남아 있기 때문에 정체성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는 MK의 재적응을 위해 한국대학 입학 전에, 한국 방문 경험 및 다수가 되는 떼(school)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의 의미와 가치의 중요성을 밝힘으로써, 다문화 배경 경험이 있는 TCK인 선교사 자녀뿐 아니라 이주 배경이 있는 학생들의 정체성 문제를 이해하고 도울 토대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of Study: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understand the essential experiences of missionary children related to national identity.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Ten children of missionaries who were re-entered to their home countries to receive university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e study. Two preliminary surveys (2016, 2019)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subject of the study. Two in-depth interviews and one non-face-to-face survey were conducted with the study participants.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and prior research, the questionnaire explored identity experiences by discovering four areas: language, culture, group, and place. In addition, rich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with schematic interview data, surveys using Phinney's 1992 national identity test tool, non-face-to-face surveys with parents of study participants, and self-report identity graphs.Conclusions and sugges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missionary kids as TCKs were able to know their names in identity confusion by sequentially experiencing international mobility, separation, and discrepancy in four areas. After all, TCK seems to suffer from identity difficulties because it remains primarily 'minority' in relation to the four domai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revealed the support needed for TCK missionary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by revealing the importance of providing visiting experience in Korea and schoo(herd)l experience before entering Korean universities to re-adaptate TCK.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미경(Mikyung Mun). (2023).선교사 자녀의 TCK(Third Culture Kids)로서의 민족정체성 겪음에 대한 본질 탐색. 기독교교육 논총, (), 193-212

MLA

문미경(Mikyung Mun). "선교사 자녀의 TCK(Third Culture Kids)로서의 민족정체성 겪음에 대한 본질 탐색." 기독교교육 논총, (2023): 193-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