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한의 시작과 만경강, 그리고 금마

이용수 59

영문명
The Beginning of Mahan, the Mangyeong River, and Geumma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한수영(Su-Young Han)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42집, 44~65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만경강유역에서는 기원전 4~3세기부터 기원을 전후한 시기까지 초기철기문화의 성립과 발전, 융성과 소멸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점토대토기와 세형동검, 전국계 철제품을 대표적인 물질문화로 꼽을 수 있으며, 청동제품의 기술력이 급발전하고 초보적인 철기문화가 공존하는 초기철기문화의 핵심을 이루는 지역이 바로 만경강유역이고, 그 중에서도 현재의 익산, 완주, 전주지역 유적의 밀집도가 가장 높다. 특히 기원전 2세기대의 변화가 주목되는데, 기원전 2세기 전반기에는 정문경으로 대표되는기술력을 바탕으로 청동기 제작기술이 최정점에 이르며, 이를 통해 중심지로 성장하게 된다. 후반기에는 유적의 규모가 더욱 커지면서 계층의 분화가 가속화되며, 다량의 유물이 부장되는 청동기 수장묘가사라지고 철기가 출현한다. 즉 세형동검으로 상징되는 최상위 지배층의 위세품이 철기로 바뀌게 되며, 이는 곧 사회구조의 변화와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같이 초기철기시대 가운데 가장 획기가 되는시점은 기원전 2세기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시기는 바로 준왕의 남래와 연결된다. 준왕의 남래 시점과 연관된 시기의 유적은 익산과 완주, 전주 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를 현재의 행정구역이 아닌 유적의 분포양상으로 구분해 보면, 함열·황등·오산을 중심으로 한 미륵산서쪽권역, 금마·왕궁·완주 이서를 중심으로 한 미륵산 남쪽에서 황방산 서쪽권역, 전주와 완주 황방산동쪽에서 전주천과 고산천을 아우르는 권역으로 크게 구분되며, 그 중심을 익산, 금마, 전주로 재편할수 있다. 앞으로 풀어야할 과제가 많지만 현재까지 밝혀진 문헌 기록과 고고학적 조사로 볼 때, 준왕남래와 관련된 기원전 2세기대 유적이 가장 밀집한 곳은 금마권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one can observe the establishment, development, integration, and disappearance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from the 4th to 3rd centuries BC to the turn of the era. Representative material cultures of this period include clay pottery, long bronze swords, and iron products found nationwide. The region, especially the Mangyeong River basin, was at the core of the early Iron Age culture, where bronze production technology rapidly advanced, and primitive iron culture coexisted. Notably, the areas with the highest density of relics are in present-day Iksan, Wanju, and Jeonju. A significant shift occurred in the 2nd century BC. In the first half of this century, based on the technology exemplified by bell-shaped vessels, bronze-making technology peaked, establishing the area as a center of importance. In the latter half, the size of relics grew, social stratification accelerated, and bronze burial mounds with vast artifacts disappeared, replaced by the appearance of iron artifacts. Thus, the symbols of power for the top ruling class, represented by long bronze swords, shifted to iron, reflecting a change in the societal structure. The most pivotal point in the early Iron Age can be pegged to the 2nd century BC, which is directly linked to the arrival of King Jun. Relics related to the time of King Jun's arrival are most densely distributed in Iksan, Wanju, and Jeonju. If we categorize based o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relics, rather than the current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areas can be divided into: the western region of Miruksan centered on Hamyeol, Hwangdeung, and Osan; the western region of Hwangbangsan and southern region of Miruksan centered on Geumma, Wanggung, and the western Wanju; and the area covering Jeonju and the eastern Hwangbangsan, including Jeonjucheon and Gosancheon streams. The central points of these regions can be redefined as Iksan, Geumma, and Jeonju. While many tasks remain to be addressed, based on currently available literary records and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the area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relics from the 2nd century BC related to King Jun's arrival can be identified as the Geumma.

목차

Ⅰ. 머리말
Ⅱ. 만경강유역 초기철기시대 주요 유적
Ⅲ. 유적의 성격과 특징
Ⅳ. 만경강유역 초기철기문화와 마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수영(Su-Young Han). (2023).마한의 시작과 만경강, 그리고 금마. 마한백제문화, (), 44-65

MLA

한수영(Su-Young Han). "마한의 시작과 만경강, 그리고 금마." 마한백제문화, (2023): 44-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