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플로이언서 광고모델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3
- 영문명
- The Impact of Advertising Model Employencer on Brand Attitude: Focusing on Authenticity, Product Involvement, and Source Credibility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장성욱(Sungwook Jang) 오상도(Sangdo Oh) 황유진(Yoojin Hwang) 이승윤(Seungyun Lee)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26권 제4호, 171~18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임플로이언서(Employencer)’라는 회사를 대표하는 사내 인플루언서가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기업은 임플로이언서를 광고모델로 활용하고 마케팅 채널에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임플로이언서와 인플루언서가 등장하는 가상의 광고를 제작하여 소비자의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임플로이언서를 활용한 광고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광고보다 브랜드태도가 높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인플루언서 유형(임플로이언서 vs 인플루언서)과 브랜드태도의 관계에서 진정성과 제품관여도라는 조절효과를 발견하였으며, 정보원신뢰성이 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임플로이언서 대한 초기연구로서 임플로이언서에 대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임플로이언서를 선별하고 육성하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a new trend has emerged where in-house influencers representing companies, known as “Employencers,” have started to appear. Companies are utilizing Employencers as advertising models and incorporating them into their marketing channels. This study aimed toinvestigate the impact on consumer brand attitudes of virtual advertisements featuring employencers and influenc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advertisements using employencers generated higher brand attitudes compared to those using influencers (Study 1).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d moderating effects of authenticity and product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r type (employencer vs. influencer) and brand attitude, with source credibility found to mediate this relationship.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STUDY 1
Ⅳ. STUDY 2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AD 요인이 중국 자율주행차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무슬림 여성소비자의 내재적·외재적 종교성이 한류참여와 한국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의 조절효과
- Against the Public or the Critic? The Impacts of Counterculturalism on Consumer Preferences for Popularity and Critical Acclaim Appeals
- 소비자 특성에 따른 대면 및 비대면 거래채널 선택 요인 분석
- SNS 포스팅을 통한 제품 애착 및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 The Influence of Anthropomorphism on Consumer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o Chatbots
- 주류 굿즈 콜라보레이션 특성이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How Resource Scarcity by Covid-19 Influences Social Isolation and Hoarding Behavior Through Negative Mental States: The Moderating Role of Temporal Orientation
- 충동성과 탐닉기회의 상호작용이 탐닉소비에 미치는 영향
- 임플로이언서 광고모델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xplaining Sales Concentration in the NFT Art Market: Trading Price, Market Activity, and Changing User Composition
- 대학생 소비자의 MBTI 유형과 소비자행동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Spillover Effect of Leadership Ethics on CSR Initiatives: The Mediating Roles of Firm Warmth, CSR Motive Attributions and Corporate Hypocris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