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후 일본의 미망인운동과 모자보호
이용수 23
- 영문명
- Widow's Movement and Mother and Child Protection in Postwar Japan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저자명
- 김경옥(Kyung-ok KIM)
- 간행물 정보
- 『일본역사연구』제62집, 149~17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패전 직후부터 1952년 4월까지의 미망인운동과 모자보호 문제를 살펴본다. 1952년 4월까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것은 이 시기 일본의 정치적 상황과 관계가 깊다. 일본은 패전 직후부터 1952년 4월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이 발효될 때까지 연합군의 점령하에 있었고, 동 조약의 발효 이후 일본은 독립정부로서 기능하였다. 이 시기 일본의 미망인은 전쟁미망인과 일반미망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쟁미망인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큰 특색은 미망인 이외의 남성을 중심으로 한 유족이 주도권을 쥐고 위령과 조위 등 정신적 처우 문제에 초점을 맞춘 유족운동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본고에서 살펴보는 미망인운동의 특징은 생활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여기에는 일반미망인뿐만 아니라 위령이나 조위 등의 정신적 처우보다 목전의 생계로 인해 뛰어든 전쟁미망인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유족운동이 남성 유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과는 달리 미망인운동은 생활자로서의 여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운동이다.
본고는 패전 직후부터 시작된 점령기의 혼란스러움 속에서 살아간 미망인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들의 생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생활기반 즉, 모자료에서의 생활과 생존권 확보를 위한 미망인운동, 이를 통해 모자보호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미망인운동의 중심에 뛰어든 여성의 주체적인 움직임에 주목하여 먼저 그들의 실태를 살펴보고 생활자로서 생활기반이라 할 수 있는 모자료와 경제적 자립 확보, 즉 생존권 확보를 목적으로 한 미망인운동의 성립과 전개 그리고 이를 통해 전후 민주주의 하의 신사회에서 펼쳐지는 모자보호 문제의 변화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생활문제를 기반으로 변화하는 미망인의 사회적, 정신적 자각을 살펴볼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widow's movement and mother and child protection issues from immediately after the defeat to April 1952. The analysis until April 1952 is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Japan during this period. Japan was under Allied Occupation from immediately after the defeat until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took effect in April 1952. After this treaty went into effect, Japan became an independent government. During this period, Japanese widows could be divided into war widows and ordinary widow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war widows is that the bereaved family, centered on men other than widows, took the initiative and proceeded with a bereaved movement focusing on mental treatment issues such as memorials and condolences. The feature of the widow's movement examined in this paper focuses on life problems. Therefore, it includes not only ordinary widows but also war widows in need due to livelihoods. In addition, unlike the bereaved movement, which is centered on male bereaved families, the widow's movement is centered on women. This article examines the reality of widows who lived in chaos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which began immediately after the defeat in World War II. The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child dormitory and the widow's movement, it will examines the issue of mother-child protection. This analysi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examining the changing social and mental awareness of widows based on life problems.
목차
Ⅰ. 들어가기
Ⅱ. 패전 직후 미망인의 실태와 모자보호
Ⅲ. 모자료와 모자보호, 그리고 미망인운동
Ⅳ. 모자보호과 미망인
Ⅴ. 결론을 대신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의 신대문자 수집과 출판
- 15세기 초 朝日交涉에서 九州探題의 역할과 위상
- 일본역사연구 제62집 목차
- 임오군란·청프전쟁·갑신정변과 일본 언론
- [서평] 에도시대란 과연 어떠한 시대였는가? 전체사를 생각하다 <쓰지 다쓰야 지음, 김선희 옮김, 에도시대를 생각한다-도쿠가와 3백 년의 유산(빈서재, 2023)>
- 전후 일본의 미망인운동과 모자보호
- [서평] 근대 일본 사진의 공무 수행을 어떻게 읽어낼 것인가, 이항관계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보이는 것들 <김계원 저, 『사진 국가 19세기 후반 일본 사진(들)의 시작』(현실문화, 2023)>
- 중일전쟁 준비를 위한 일본의 만주지역 치안숙정과 군비강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