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일전쟁 준비를 위한 일본의 만주지역 치안숙정과 군비강화
이용수 129
- 영문명
- Japan's Manchurian Policing and Arms Enhancement to Prepare for the Sino-Japanese War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저자명
- 유지아(JIA YOO)
- 간행물 정보
- 『일본역사연구』제62집, 121~14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33년의 탕구정전협정으로 중일간에 군사적인 충돌이 줄었들었으나, 일본은 1935년부터 화베이분리공작을 기점으로 중국에 대한 침략을 재개하여 중일간의 긴장상태는 다시 극에 달하게 되었다. 이에 일본은 만주국에 대한 치안과 군비를 강화하여 중국과의 전쟁에 대비하고자 했다. 1936년 후반으로 갈수록 중일 관계가 급속하게 악화되고, 중일전쟁 발발 직전인 1937년 6월에는 중국 동북지역에서 일본 관동군과 소련군이 충돌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일본은 중국 동북지역의 군사개편을 실시하였으며, 만주국군에 대한 개혁도 군경중앙기구의 통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1936년 후반에 일본은 만주국의 군비를 정비하는데 많은 예산을 들여 만주국군들의 무기 보유 상황은 이전보다 배 이상으로 향상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본은 1936년을 전후로 총력전에 대응하기 위한 만주국의 치안숙정을 단행했다. 주요한 내용은 만주군과 외무성경찰의 치안숙정계획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 치안숙정 안에는 사상공작을 포함하고 있어서 국민생활의 원리를 진작하면서 생활에서 자국주의의 우수성을 인식하고 내성적인 비판에 근거한 기본사상전을 추진했다. 이와 함께 전시사상전을 진행하여 전쟁 전의 급박한 환경에서 사상적 총동원체제를 강화하고자 했다. 이처럼 일본은 이미 1936년 중반을 넘어서면서 중국과의 전면전을 위해 만주국에 대한 치안과 군비를 강화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준비가 있었기 때문에 루거우차오사건이 발생했을 때 선전포고 없는 전쟁을 시작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1933 Tanggu Armistice Agreement reduced military conflict between China and Japan. However, Japan resumed its invasion of China in 1935 with the separation of Hebei. As a result, tension between China and Japan reached its peak again. Accordingly, Japan tried to prepare for a war with China by strengthening security and arms against Manchuria. In particular, China-China relations deteriorated rapidly toward the end of 1936. And in June 1937, just befor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Japanese Kwandong Army and Soviet Army clashed in northeastern China. Since then, Japan has carried out a military reorganization in northeastern China and also carried out reforms to the Manchurian Army. The reform was mainly centered on the integration of the military and police central organization. In addition, in the late 1936, Japan spent a lot of money to reorganize the armaments of Manchuria, and the weapons possession situation of Manchurian troops more than doubled compared to before.
In addition, since 1936, Japan has conducted a security settlement in Manchuria to respond to the all-out war. The main contents are based on the security plan of the Manchurian army and the Foreign Ministry police. In particular, this security policy includes ideological work, which promoted a basic ideological exhibition that recognizes the excellence of nationalism in life while promoting the principles of people's lives. At the same time, an exhibition of wartime thought was held to strengthen the ideological general mobilization system in the urgent environment before the war. As such, Japan has already been strengthening security and arms against Manchuria as a preparatory step for invading China since the middle of 1936. Because of this preparation, it was possible to start a war without a declaration of war when the Lugouqiao incident occurred.
목차
Ⅰ. 머리말
Ⅱ. 만주국 초기의 치안 체제
Ⅲ. 중일전쟁 직전, 군경통일에 의한 치안숙정
Ⅳ. 중일전쟁 직전, 만주국군의 군비강화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의 신대문자 수집과 출판
- 15세기 초 朝日交涉에서 九州探題의 역할과 위상
- 일본역사연구 제62집 목차
- 임오군란·청프전쟁·갑신정변과 일본 언론
- [서평] 에도시대란 과연 어떠한 시대였는가? 전체사를 생각하다 <쓰지 다쓰야 지음, 김선희 옮김, 에도시대를 생각한다-도쿠가와 3백 년의 유산(빈서재, 2023)>
- 전후 일본의 미망인운동과 모자보호
- [서평] 근대 일본 사진의 공무 수행을 어떻게 읽어낼 것인가, 이항관계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보이는 것들 <김계원 저, 『사진 국가 19세기 후반 일본 사진(들)의 시작』(현실문화, 2023)>
- 중일전쟁 준비를 위한 일본의 만주지역 치안숙정과 군비강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