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가 안구건조증의 임상 양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영문명
Clinical Impact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s on Dry Eye Disease
발행기관
대한검안학회
저자명
김창환(Chang Hwan Kim) 지용우(Yong Woo Ji)
간행물 정보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22 No.4, 125~132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안구건조증은 흔한 안구표면 질환으로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구건조증과 대기 오염물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구건조증으로 진단된 총 21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매달 신환 18명을 등록하였다. 안구표면 자각증상점수 설문조사(OSDI), 눈물막파괴시간(TFBUT), 각막염색점수(FCS), 쉬르머검사(ST1)를 시행하였고 기상청에서 제공한 2018년 12개월의 대기오염농도 데이터를 얻었다. PM10과 PM2.5 평균값을 기준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시기(H-PM)와 낮은 시기(L-PM)에 노출된 그룹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은 높은 OSDI, 낮은 TFBUT, FCS 증가, ST1 감소 소견을 보이는 중등도의 건성안 소견을 보였다. 2018년동안 미세먼지 농도의 월별 추이를 보면 5월부터 10월까지는 낮은 미세먼지 농도를 보였고 1월부터 4월까지 그리고 11월과 12월에는 높은 미세먼지 농도를 보였다. 하위그룹 고미세먼지에 노출된 환자들은 저미세먼지에 노출된 환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OSDI, FCS와 낮은 ST1을 보였다. 그러나 두 그룹에서 TFBUT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안구건조증의 주요인자인 눈물막 불안정성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미세먼지에 노출된 군에서 안구건조증이 더 심하게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미세먼지가 높은 시기에 안구건조증이 악화될 수 있으며, 이는 환경 염증 유발 인자들이 눈물 분비 및 안구표면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Dry eye disease (DED) has become a common ocular surface disorder in the recent decades, which can b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linical association between DED and ambient air pollutants. Methods: A total of 216 patients (18 patients per each month) diagnosed with DED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tear film breakup time (TFBUT), fluorescein corneal staining (FCS), and Schirmer’s test 1 (ST1) were examined. The monthly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in 2018 were obtained from the data releas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Based on the mean of PM10 and PM2.5, subgroup with exposure to low (L-PM) or high concentration of PM (H-PM) was analyzed. Results: Patients had moderate DED as high OSDI, low TFBUT, increased FSC, and decreased ST1. During the year 2018, monthly variation of PM showed that May to October was the period of L-PM and January to April and November to December was the period of H-PM. In subgroup analysis, patients in H-P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OSDI, FCS, and lower ST1 compared to in L-P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FBUT between subgroups. Conclusions: DED was more severe in the period of H-PM than L-PM even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r film instability between both periods. Ambient inflammatory factors including PM might deteriorate ocular surface as well as tear secretion, resulting in aggravating DED.

목차

서 론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환(Chang Hwan Kim),지용우(Yong Woo Ji). (2023).미세먼지 농도의 변화가 안구건조증의 임상 양상에 미치는 영향.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22 (4), 125-132

MLA

김창환(Chang Hwan Kim),지용우(Yong Woo Ji).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가 안구건조증의 임상 양상에 미치는 영향."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22.4(2023): 125-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