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조직의 성별직무분리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11

영문명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exual task segregation in the Police Organization
발행기관
한국민간경비학회
저자명
권혜림
간행물 정보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2券 第4號, 21~4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찰조직의 성별직무분리 현상은 의심의 여지없는 사실이다. 여성경찰관이 특정 부서 및 역할에 쏠려있음은 객관적 통계로 입증되고 있으며, 여성의 신체적ㆍ물리적 약세와 남성성이 적합한 경찰업무 특성 등을 논거로 여성경찰의 역할 및 정체성에 대한 의문에 남녀 경찰 간 소통부재가 더해지면서 뚜렷한 성별직무분리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화는 단단하고 폐쇄적인 성격을 지니며, 조직 내 성 불평등을 야기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성별직무분리의 영향요인 및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심도 있게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그 원인을 규명함에 있어서 단순히 경찰업무의 특수성이나 남녀의 신체적ㆍ물리적 차이만으로 단정 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결혼과 출산, 가사와 양육부담 등 가정과 직장의 역할양립이 수월한 직무를 선택함에 있어서 남녀 개인의 차이 또는 직장환경 등의 영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별직무분리 영향요인을 개인적, 조직적 차원에서 구분하여 경찰조직 내 성별직무분리가 개인적 선택과 조직적 강제 중 어떠한 것에 영향을 받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sexual task segregation in the police organization is an undeniable fact. This is supported by objective statistics showing that female police officers tend to be concentrated in specific departments or roles. This is becoming more pronounced due to arguments suggesting that women have lower physical capabilities compared to men and that police work is better suited for men. In addition to this, doubts about the role and identity of female police officers and a lack of trust between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have further contributed to this clear sexual task segregation structure. It has a solid and closed nature, leading to gender inequality within the organization. Therefore, it’s important to conduct research on the factors influencing sexual task segregation and their impact on the job attitude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particular, research should go beyond simplistic explanations based on the nature of police work and the physic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This is because individual differences and factors in the workplace, such as the ease of balancing roles in both home and work environmen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choice of jobs that facilitate work-family balance, considering factors like marriage and childbirth, household chores, and childcare responsibilities. This research aims to dissect the factors influencing gender-based job segregation into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to investigate whether gender-based job segregation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is a matter of personal choice or organizational compul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혜림. (2023).경찰조직의 성별직무분리 영향요인 탐색.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2 (4), 21-44

MLA

권혜림. "경찰조직의 성별직무분리 영향요인 탐색."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2.4(2023): 2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