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발음의 ‘지각’과 ‘산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pronunciation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홍진혁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7호, 335~36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pronunciation as a basic research that will be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practical method of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For this, perception and production test on segment and phonological process words were performed for 47 Chinese learner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SS 23 to see if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learners in terms of individual learners and word itself.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individual learner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pronunciation in both segmentation and phonological process word.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rrelation. To be specific, it was ‘very high’ (R = 0.900) in the segment, whereas ‘normal’ (R = 0.466) in the phonological process word. In terms of the individual words,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pronunciation. However, in the degree of the correlation, both the segment and phonological process word showed low correlation.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success of the perception did not lead to the success of the production, or the success of the production did not lead to the success of the percepti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imply that educational approach and method towards segment sound and the phonological process sound should be different. In addition, the ‘gap’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pronunciation means that there are influences of other variables besides perception and producing pronunciation. Furthermore, It means that there is a need for more intentional and explicit instructional methods other than direct and imitative simple repetition exercises such as simply ‘listening and repeating’.
목차
1. 서론
2. 발음의 ‘지각’과 ‘산출’의 상관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발음 ‘지각’과 ‘산출’의 상관성 검증 실험
4. 발음의 지각과 산출의 상관성이 발음 교육에 주는 시사점
5.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발음의 ‘지각’과 ‘산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한국어와 스페인어 신체어 관용표현의 거짓 짝 연구
- 베트남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한국어 교사의 수업 시간 외국어 사용 연구
- 한국어 읽기 전략 교수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오류 분석
- 자연 학습 환경에서의 L2 한국어 통사 발달과 학습자 변인에 대한 횡적 고찰
- 중국인 학습자의 확인의문문 억양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 연구
- ‘문답식 발표 모형’을 활용한 토론 상호작용 훈련 방안
-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읽기 불안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과 유창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