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coustic Study on Korean Monophthongs Produced by the Vietnamese Novice Learners of Korean: Focusing on Female Speak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정환민 이나라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7호, 285~3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oustically analyze 8 Korean monophthongs produced by the 20 Vietnamese novice learners of Korean and the 20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to compare their pronunciations. The participants were all female speakers. Among many acoustic features of vowels, we here present the first formants(F1) and the second formants(F2), by which we can assume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vowels produced. The result shows that almost all vowels produced by the Vietnamese learn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ir F1 and F2 to those produced by the native speakers of Korean. Particularly in case of the back vowels, /ㅜ/ and /ㅗ/,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ietnamese learners and the native speakers of Korean can lead to confusion, which means it has to be the first priority when teaching vowel pronunciation of Korean to teach how to pronounce those two vowels in a precise way.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발음의 ‘지각’과 ‘산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한국어와 스페인어 신체어 관용표현의 거짓 짝 연구
- 베트남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한국어 교사의 수업 시간 외국어 사용 연구
- 한국어 읽기 전략 교수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오류 분석
- 자연 학습 환경에서의 L2 한국어 통사 발달과 학습자 변인에 대한 횡적 고찰
- 중국인 학습자의 확인의문문 억양 연구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 연구
- ‘문답식 발표 모형’을 활용한 토론 상호작용 훈련 방안
-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읽기 불안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과 유창성 연구